트럼프의 관세 부과 예고

대선 승리 후: 트럼프는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그 이유로 펜타닐 문제를 언급.

펜타닐 원료: 주요 원료는 중국에서 생산되지만, 중국은 마약 단속이 엄격하여 원료를 멕시코 마약 카르텔에 수출함.

미국 내 공급 경로: 멕시코에서 캐나다를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경로가 펜타닐 공급의 85%를 차지하고 있음.

캐나다의 반응

트뤼도 총리의 접근: 트럼프에게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라는 제안을 받음. 이는 캐나다인들의 감정선을 건드림.

경제 의존도: 캐나다 경제는 미국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음.

수출 및 수입 비율: 캐나다 수출의 76%가 미국으로 가고, 수입의 52%가 미국에서 오며, 미국으로 가는 수출의 10%가 감소하면 캐나다 GDP가 2.5% 줄어듦.

정치적 변화

정치신인 마크 카니: 트뤼도 총리가 물러난 후, 반 트럼프 성향의 마크 카니 전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가 신임 총리로 당선됨.

국민 단결 촉구: "미국은 우리의 자원과 물을 원한다"며 미국의 성공이 캐나다의 삶의 방식을 파괴할 것이라고 경고.

보복 조치

트뤼도 총리의 고별 연설: 캐나다는 싸워야 할 때 싸우는 나라라고 강조하며 트럼프의 관세 위협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

온타리오주의 반발: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로, 트럼프의 관세에 강하게 반발하며 미국산 주류를 매장에서 제거하고 전기 요금을 인상하겠다고 발언.

전기 요금 인상: 미국으로 보내는 전기 요금을 25% 인상한다고 발표하여, 미국 내 전기 소비가 많은 지역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경고.

경제적 타격

온타리오주의 반발: 온타리오주는 캐나다의 정치, 경제 중심지로 미국의 관세에 가장 강하게 반발하고 있음.

보복 관세 부과: 트럼프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하자 캐나다는 미국산 오렌지주스, 신발, 오토바이 등에 보복관세를 부과함.

온타리오주의 극단적 조치

주류 매장 조치: 온타리오주 주류 통제 위원회는 관할 주류 매장에서 미국산 주류를 모두 제거함.

스페이스X 계약 파기: 온타리오주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체결한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 이용 계약도 파기할 것이라고 예고함.

전기 요금 인상: 온타리오주는 미네소타, 뉴욕, 미시간으로 보내는 전기요금을 25% 인상 예고.

겨울철 난방 문제: 북부

지역은 겨울에 난방용 전기 사용량이 많아, 전기 요금 인상이 심각한 영향을 미침.

트럼프의 대응

관세 인상 발표: 트럼프는 캐나다 전기 요금 인상에 대한 보복으로 캐나다산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를 50%로 인상한다고 발표함.

관세의 영향: 이 조치가 "캐나다의 자동차 제조 사업을 영구적으로 중단시킬 것"이라고 경고함.

농산물 관세 위협: 트럼프는 캐나다가 유제품 및 기타 미국 제품에 대해 관세를 철폐하지 않으면, 다른 관세도 상당히 인상될 것이라고 경고함.

비상사태 선포

온타리오주 비상사태: 트럼프는 온타리오주에서 전기를 공급받는 지역에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할 것이라고 발언함.

송전망 정보: 온타리오주는 뉴욕으로 보내는 송전망 7개, 미시건 4개, 미네소타 1개를 보유하고 있어, 이들 지역이 비상사태 선포 지역이 됨.

반미 감정의 정치적 연결

캐나다의 반미 감정: 캐나다 국민들의 반미 감정이 정치로 연결되고 있음.

파이브 아이즈 국가: 캐나다는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와 함께 파이브 아이즈 국가에 속함.

정보 공유 체계: 파이브 아이즈는 기밀 정보 공유를 위한 체계로, 캐나다의 국민 감정이 4단계로 하락하는 상황임.

미국의 동맹국 단계: 미국은 세계 국가들은 크게 4단계로 구분하고 있음.

파이브 아이즈 국가들이 1단계, 한국, 일본, 독일 등이 포함된 8개 국가가 2단계, 동맹은 아니지만 웬만하면 지켜줘야하는 30개 국가가 3단계,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 이라크 등 적대국가들이 4단계로 분류.

상황 정리

해프닝 진정: 온타리오주는 전기 요금 인상을 중단하고, 트럼프는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함.

남아 있는 관세: 여전히 25%의 관세와 상호관세 등이 남아 있는 상황임.

결론

트럼프의 관세 부과 정책과 캐나다의 반응은 양국 간의 긴장을 고조시키며, 경제적 상호의존에도 불구하고 반미 감정이 정치적으로 연결되고 있음.

캐나다의 정치적 환경과 미국과의 관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메르님의 블로그에서 인사이트를 얻어 이해하기 쉽게 다시 정리 요약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