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주차 미국지수
이번주는 그래프 보시다시피 일제히 지수들이
하락하였습니다 .
다우존스가 그나마 덜 하락하기 했는데 그래도
다른 지수들과 소수점 차이로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특히 S&p500은 6일동안 1%넘게 등락하였어요.
11월 트럼프 대통령 선거 당선 이후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제자리도 돌아간 셈인데요.
이번 주는 어떤 경제 이슈들이 있었는지
살펴볼게요~
✔️ 경제 성장 전망치 하락✔️
미국 2월 민간 고용 증가치가 예상치 하회를 하였어요
시장 예상치는 14만명이였지만
실제 지표는 7만 7천명으로 그쳤습니다.
서비스 PMI 지수는 49.7로 기준선 50이하를 기록하여
경기위축 신호를 보였다는 것. 이렇게 전반적인 지표가
좋지 않았었어요
지난 3일 애틀렌타연방준비은행에 올해 1분기
미국 성장률을 발표했는데, 전기 대비 기준 - 2.8%
기록할 것으로 보았다는 것.!
이 전망대로라면 3년만에 미국은 역성장을 하게 되요.
특히 소비심리가 급격히 식고 있다는 것인데요.
앤듀류 월슨 구제상업회의소(ICC)는
이대로 관세 정책을 폐지 하지 않으면 1940년대 이후
평균관세율이 높은 수준이며
물가상승과 경기침체가 함께오는
'스태그 플레이션'
을 언급하기도 하였습니다.
✔️매그니피센트7 하락✔️
이번주 특히
미국의 성장주를 이끄는 매그니피센트 7 대부분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에
투자가 불확실해졌기 때문인데요
(딥시크도 이유가 될수가 있지만!)
특히 테슬라가 이번주에 - 12%나 하락하였고
AI 대장주 엔비디아도 -8%나 하락하였습니다.
미국 멕시코 캐나다 관세정책을
4월 2일까지 면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지만
우려는 식지 않아보입니다.
매그니피센트 외에도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하락. 임의소비내, 부동산 , 기술
통신서비스, 유틸리티등등 말이죠.
✔️BATX 중국 기술주 재평가?✔️
매그니피센트로 주춤한 반면 중국에는
비야디, 알리바바, 텐센트,샤오미등
BATX가 평균 46% 상승하였습니다.
특히 미국 기술주에 비해 PER가 낮아
중국의 IT 성장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주목을
받고 있어요.
미국 주식으로 돈벌었다는 말은 한동안 듣기
어렵지 않을까 싶구요. 미국이 단기간으로 몇백퍼센트
상승을 하다보니,
이제 미국외에 인도, 중국, 일본으로
더욱 성장성이 있는 나라로 눈을 돌려봐야할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