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추가 관세 유예 발표에도 불구하고 관세 불안이 지속되면서 3대 지수와 러셀2000 모두 하락했고, 나스닥은 고점 대비 하락폭이 -10%에 육박하여 조정 국면 진입

트럼프 대통령은 USMCA에 포함된 멕시코, 캐나다 상품들에 대해 4/2까지 25% 추가 관세 부과를 면제하기로 발표함

그러나 시장 친화적 인사로 알려진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비전에 동조하지 않을 경우, 적대국 뿐만 아니라 동맹국에도 경제적 압박을 가할 것이라고 발언하며 관세 긴장감은 지속됨

한편, 미국의 무역수지는 적자폭이 확대되며 관세 부담이 가중된 가운데,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는 지난 주보다 감소했으나 챌린저 대량해고지수가 급증하며 노동 시장 불안이 커짐

미국 증시는 관세와 경기 불안 속에 전반적으로 하락했으며, 데이터 센터 관련 반도체 설계 기업 마벨 테크놀로지의 실적은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실망스러운 가이던스를 제시하자 기술주 하락을 주도

AI 수요 둔화 우려가 확산되면서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전반적으로 약세

반면 유럽중앙은행(ECB)은 기준금리를 25bp 인하했고, 독일 정부는은 재정 지출 확대를 발표하며 경기 부양에 나섬

이에 따라 유럽 증시는 상승하며 미국 증시와 대조적인 흐름을 보임

주요 뉴스 헤드라인




"제2의 딥시크 만든다" 탄력 받은 中…200조원 펀드 만들고 전용 채권시장 조성까지

ECB 5차례 연속 금리 인하…경제성장률 전망치도 낮춰

美 1월 무역적자 34% 증가…트럼프 관세 우려에 수입 급증

美 주간 실업수당 청구 22만1000건…'예상치 하회'

트럼프 "캐·멕 관세 한달 유예…대부분 관세 4월2일 시작"(종합)

美재무장관 “다른 국가 관행 美 악영향시 대응할 것”

실적 실망, 반도체 설계업체 마벨 20% 폭락…AI주 끌어내려

[뉴욕유가] 트럼프 관세 한 달 유예에도 반등폭 '미미'…WTI 0.08%↑

오락가락 관세에 뉴욕증시 동반 급락…나스닥 조정 국면 진입(종합)

美 브로드컴 실적 예상치 상회…시간외 주가 15% 급등

S&P500 맵




마벨 테크놀로지(MRVL)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가이던스에 실망하자 급락

엔비디아(NVDA) 마벨 테크놀로지의 실적 가이던스 부진으로 AI 수요 우려가 확대되며 반도체 업종 전반적으로 하락

브로드컴(AVGO) 마벨 테크놀로지 실적 가이던스 부진으로 반도체 섹터가 약세를 보인 가운데 자사 4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불확실성 증가에 하락 마감, 장 종료 후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했으며 실적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되는 AI 관련 매출이 전 분기 대비 77% 증가하했고 가이던스도 예상치를 상회하자 시간외 급등

테슬라(TSLA) 관세 긴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베어드의 벤 칼로 애널리스트가 테슬라의 1분기 출하 전망이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며 목표 주가를 440달러에서 37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는 소식에 하락

팔란티어(PLTR) 최근 CEO의 주식 매각 소식이 불안감을 키운 가운데, 오늘도 임원이 지분을 일부 매각했다는 소식에 하락

섹터 실적




미국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를 4/2로 유예했으나 관세 불안이 지속되며 모든 섹터에서 하락

마벨 테크놀로지의 가이던스 부진으로 기술주가 하락을 주도했으며 이어서 소비 순환재, 부동산, 유틸리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금융, 업재, 헬스케어 순으로 약세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최근 지표 개선과 독일의 재정지출 확대 영향으로 상승하다가 고용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대량해고지수가 급증하며 불안금을 키우자 상승폭을 줄이며 보합권으로 마감

실업수당청구건수는 신규 수치가 예상치를 하회했으나 연속 수치가 높게 나타나며 혼조세

미국 2월 챌린저 고용 변화율은 17만 2천 건으로 이전 4만 9천 7백 건 대비 대폭 상승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는 22만 1천 건으로 예상치 하회, 이전 대비 감소

미국 연속 실업수당청구건수는 189만 7천 건으로 예상치 상회, 이전 대비 증가

환율




달러 지수는 하락하며 달러 약세

엔화, 원화 강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하락했으며 극도의 공포(Extreme Fear)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큰 폭으로 상승하며 변동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