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메이플자이 추가공사비요청
GS건설의 추가 공사비 요청으로 인해 메이플자이 조합원들은 1인당 약 1억 5000만원의 추가 분담금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예상
추가 공사비 요청 내역
GS건설은 메이플자이 재건축조합에 총 4859억원의 추가 공사비를 요구했습니다.
1. 물가 상승과 금융 비용 증가에 따른 인상분: 2571억원
2. 설계 변경과 특화에 따른 인상분: 2288억원
조합원 부담 증가
이러한 추가 공사비 요청이 모두 수용될 경우, 조합원들은 상당한 추가 부담을 지게 됨
- 조합원 1인당 약 1억 5000만원의 추가 분담금 발생
- 3.3㎡당 공사비가 최초 499만원에서 797만원까지 상승
현재 상황
현재 이 문제는 법적 분쟁으로 번지고 있음
- GS건설은 2571억원에 대해 서울중앙지법에 공사대금 소송을 제기
- 2288억원에 대해서는 한국부동산원의 검증이 진행 중
조합 측은 이러한 추가 공사비 요구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특히 물가 인상 등에 따른 공사비 증액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음.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오는 6월로 예정된 입주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조합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
GS건설이 추가 공사비를 요구하는 이유
건설 환경의 변화
1. 물가 상승
- 건설 자재 및 노동 비용의 증가로 인해 당초 계약 시점보다 실제 공사 비용이 상승
- GS건설은 협약에 의한 착공 전 물가상승분으로 310억원을 요구
2. 금융 비용 증가
- 사업 기간 연장으로 인한 금융비용 증가를 주장
- 사업기간 증가에 따른 금융비용 185억원, 일반분양 세대수 감소 등에 따른 분담금 증가분 금융비용 777억원을 요구
사업 계획 변경
1. 설계 변경 및 특화
- 설계 변경과 특화 적용으로 인한 추가 비용 2288억원을 요구
- 이는 당초 계획에 없던 추가적인 작업이나 고급 자재 사용 등으로 인한 비용으로 추정
2. 사업 기간 연장
- 준공일이 여러 차례 연기되면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했다고 주장
기타 요인
1. 일반관리비 및 이윤
- 입찰 대비 증가된 공사비에 대한 일반관리비 및 이윤 332억원을 요구
2. 건설환경 변화
- 구체적인 내용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건설환경 변화에 따른 공사비 반영분으로 967억원을 요구
이러한 요구는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의 복잡성과 장기간에 걸친 사업 진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반영한 것으로 보임.
그러나 조합 측에서는 이러한 요구의 일부가 근거가 없거나 과도하다고 판단하여 갈등이 발생한 것으로 보임
GS건설이 추가 공사비를 요구하는 다른 사례
철산주공 8·9단지 재건축 사업
GS건설은 경기도 광명시의 철산주공 8·9단지 재건축 조합에 약 1032억원의 추가 공사비를 요구
이는 조합원 1인당 5000만원이 넘는 금액
GS건설은 코로나19 팬데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갈등 등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폭등과 수급 불안정, 조합의 설계 변경 요청 등을 공사비 증액의 주요 이유
KT 신사지사 호텔 개발 프로젝트
GS건설은 KT 신사지사를 호텔로 개발하는 신축공사와 관련하여 추가 공사비 약 90억원을 요구
이 사건에서 법원은 GS건설의 손을 들어주어 KT에게 76억7127만원의 추가 공사비 지급을 명령
기타 사례
- 송파구 잠실진주아파트 재건축(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공사에서도 GS건설은 원자재 가격 상승, 설계 변경 등을 이유로 공사비를 총 세 차례 인상
- 대구 상인동 '상인센트럴자이' 프로젝트에서 GS건설은 49%의 공사비 인상을 요구하여 착공과 분양 일정이 지연
이러한 사례들은 건설 업계 전반에 걸쳐 공사비 갈등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줌.
원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인상, 예상치 못한 경제 상황 변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이는 건설사와 발주처 간의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음
메이플자이 입주 지연이 반포 일대 임대차 시장에 미치는 영향
광범위한 파급 효과
메이플자이는 3307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입주 지연 시 반포 일대 임대차 시장에 상당한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
정비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메이플자이의 입주가 연기될 경우 반포 일대 1만 가구 이상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연쇄적인 이주 지연
일반적으로 한 가구가 이사를 하면 3~4가구가 연쇄적으로 이동하게 됨. 따라서 메이플자이의 입주 지연은 단순히 3307가구에 국한되지 않고, 주변 지역의 이사 계획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임대차 시장 불안정
1. 전세 및 월세 가격 변동
2. 임대 물량 부족 현상
3. 기존 계약의 연장 또는 파기로 인한 혼란
주변 지역 임대차 시장 압박
메이플자이 입주 예정자들이 다른 지역에서 임시 거주지를 찾아야 할 경우, 주변 지역의 임대차 시장에 추가적인 수요 압박을 줄 수 있음.
장기적인 시장 영향
입주 지연이 장기화될 경우, 반포 일대 부동산 시장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향후 다른 재건축 사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
이러한 영향들을 고려할 때, 메이플자이의 입주 지연 문제는 단순히 한 단지의 문제가 아니라 반포 일대 전체 임대차 시장의 안정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임을 알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