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물가 안정 신호와 월말 수급 요인의 영향으로 3대 지수와 러셀2000 모두 상승 마감

연준의 인플레이션 기준 지표인 1월 PCE물가지수가 헤드라인과 근원 수치 모두 예상치에 부합하며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자 국채 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를 보이며 증시는 강세 출발했으나, 소비 지출 감소와 경기 둔화 우려로 상승 폭은 제한됨

장중 트럼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의 협상이 결렬되면서 달러 강세가 확대되고 변동성이 커짐

이후 주간 옵션 만기 및 월말 윈도우드레싱 효과로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테슬라, 엔비디아 등 대형 기술주 중심의 강세가 나타나며 장 막판까지 상승폭을 확대하며 마감

주요 뉴스 헤드라인




美, 韓알루미늄 제품에 관세 85% 부과

美1월 PCE 물가상승률 둔화…개인소비, 팬데믹이후 최대 감소(종합)

美연방은행 전망모형, 미국 1분기 1.5% 역성장 전망

美재무장관 “인플레 2% 목표치 도달 빠르게 가능”

“마약 조직원 29명 바로 넘기겠습니다”…멕시코, 관세폭탄 맞기 전 ‘트럼프 달래기’

“대책 마련해 보든가”…中양회 개막일에 추가 관세 때리겠다는 트럼프

"백악관 떠나달라"...격렬한 충돌 끝 트럼프,젤렌스키 회담 파행

[뉴욕유가] 이라크 석유수출 확대 기대감에 WTI 0.84%↓

뉴욕증시, 트럼프-젤렌스키 충돌 불구 상승…다우 1.4%↑(종합)

사운드하운드 깜짝 실적, 주가 17% 폭등

S&P500 맵




엔비디아(NVDA) 전일 실적 발표와 트럼프 관세 발언에 큰 폭으로 하락한 뒤 물가 안정과 월말 수급 유입으로 상승

테슬라(TSLA) 최근 6거래일 연속 하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에 상승

델(DELL) 4분기 실적 발표에서 EPS가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매출이 부진했고, 가이던스도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자 하락

아마존(AMZN) 월마트를 제치고 역대 처음으로 미국 내 분기 매출 1위 기업으로 올라섰다는 소식과 함께 상승

사운드하운드(SOUN) 최근 엔비디아가 투자금을 회수했다는 소식에 하락했으나,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하자 상승

섹터 실적




국채 금리 하락과 낙폭 과대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모든 섹터에서 상승

금융, 기술, 유틸리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경기 방어주, 에너지, 산업재, 소비 순환재, 헬스케어, 부동산 순으로 강세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연준의 인플레이션 기준 지표인 PCE 물가지수가 예상치에 부합하며 둔화하는 모습을 보이자 전반적으로 하락

미국 1월 PCE 물가지수는 2.5%로 예상치 부합, 이전 대비 감소

미국 1월 근원 PCE 물가지수는 2.6%로 예상치 부합, 이전 대비 감소

환율




달러 지수는 상승하며 달러 강세

원화, 엔화 약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상승했으며 극도의 공포(Extreme Fear)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하락하며 변동성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