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장이 기침을 하니 국장은 독감이 걸려 드러누운 하루였음. KOSPI와 KOSDAQ은 거의 전섹터가 하락하여 오르는 종목이 특이한 상태였으며, 무려 각각 -3.39%, -3.49% 급락
오늘 국장이 이렇게 크게 낙폭을 보인 것은 2월 들어 주가가 타 시장 대비 빠르게 올라 주가가 비교적 높은 수준에 있은 데다, 토일월 연휴를 앞두고 불확실성을 피해 최대한 물량을 정리하고자 하는 심리가 강하게 작용한데 따른 것임
주가 하락의 원인은 미 관세 불확실 때문인데, 트럼프 대통령이 27일 본인의 SNS에 예정대로 3월 4일 캐나다/멕시코에 유예 중인 25% 관세를 집행하고,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음
트럼프는 26일 유럽에 대해서도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해 미국발 글로벌 무역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트럼프는 한국에 대해서도 중국 원자재를 사용한 우회수출로 판단하고 알루미늄 연선/케이블(AWC)에 대해 반덤핑관세 52.79%, 상계관세 33.44%를 부과한 것으로 확인됨(2023년 10월 이후 수출품부터 관세가 소급 적용)
이러한 트럼트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전일 미국 S&P500은 -1.59%, NASDAQ은 -2.78% 하락. 특히, 기술주 중심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6.09% 빠지면서 우리나라의 반도체주 역시 직격탄을 맞았음. DB하이텍이 -10.28%, 이수페타시스 -8.06%, 한미반도체 -6.50% 등 큰 낙폭이 나왔음. 반도체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갈등이 심화될 경우 가장 큰 피해를 받을 수 있는 섹터임
그동안 상승세를 보이던 2차전지도 전반적으로 큰 하락이 나왔음. 2차전지의 경우 미국 관세 부과뿐만 아니라 중국산 원자재나 부품을 사용하는데 따른 추가적인 제재 가능성도 있어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음. 엔켐이 -13.5%, 포스코DX -10.12%, 엘앤에프 -8.15% 등 큰 낙폭이 나왔음
로봇 섹터에서는 레인보우로보틱스가 -12.74% 하락하는 등 섹터 전반적으로 급락함. 특히 오늘 중국의 로봇산업 굴기 관련 보도가 자세히 나오면서 중국과 한국 로봇산업의 큰 격차를 인식한 하루였음
자동차산업 역시 관세 영향을 피해가기는 어려웠지만 반도체나 2차전지에 비해서는 강도가 약했음. 이는 현대차와 기아차가 6%가 넘는 배당주이기 때문에 저가 매수세가 뒷받침했기 때문
바이오 섹터에서는 클래시스 -8.68%, 바이오니아 -7.67% 감소했으나 실적이 호전되고 있는 셀트리온은 오히려 +0.71% 상승
방산의 경우 그동안 천정부지로 올랐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8.47%), LIG넥스원(-6.4%), 현대로템(-5.33%) 등의 낙폭이 크게 나왔음
반면, 화장품 섹터에서는 마녀공장 +8.67%, 한국콜마 +1.32% 등 일부 상승종목도 나왔음
<상한가 분석>
아이티센엔텍 : 실적호조. AI 클라우드 컴퓨팅 수혜 전망
비엘팜텍 : 3거래일 상한가. 구리 관련주(트럼프 구리 관세 부과)
소룩스 : 아리바이오 인수 지연 소식
포바이포 : 퓨리오사 AI 관련주
<외국인 매수 종목>
<연기금 순매수 상위 종목>
<3.4 매매 전략>
매수 : 맥쿼리인프라 삼성전자 삼성전자우 기아 현대차 현대차우 Kodex미국AI테크TOP10타겟커버드콜 (주당 135원) KODEX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주당 123원) Tiger미국S&P타겟데일리커버드콜(주당 92원) HL만도 한미약품
<2.28 수익 종목 일부 매도>
매도 : 삼천당제약 현대건설 LS 현대모비스 팬오션 제일기획 감성코퍼레이션 HD현대인프라코어 셀트리온 LIG넥스원 휴림로봇 고영 피엔티 DGB금융지주 알테오젠 TS인베스트먼트 Kodex200선물인버스2x 레이크머티리얼즈 카카오뱅크 Tiger2차전지TOP10레버리지 마녀공장
<투자는 본인 책임>
<다음 주는 국내장 리뷰 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