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마감 시황 체크 ★
2025년 2월 28일
3대 지수 하락
트럼프 관세 발언에 장중 급락
엔비디아 8% 하락
나스닥 박스권 하락 이탈
트럼프 악재 지속...
★ 미국 증시 섹터별 흐름 ★
부동산 및 금융 주 상승
기술 및 유틸리티 주 중심 하락
★ 오늘의 특징 주 ★
■ 델 테크놀로지스
델 테크놀로지스(NYS:DELL)는 올해 약 150억 달러의 인공지능(AI) 서버 매출을 예상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부진했으나 수익은 기대치를 상회했다.
27일(현지시간) 델은 지난해 4분기 239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245억 5천만 달러를 밑돈 수준이나 주당순이익(EPS)은 2.68달러(조정 기준)로 예상치인 2.53달러를 웃돌았다.
델은 이어 2025 회계연도에 약 100억 달러의 AI 최적화 서버를 판매했으며 올해에는 약 150억 달러의 AI 시스템 판매를 예상했다. CNBC에 따르면 델은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거래에서 미 동부 시간(EST) 기준 오후 5시 46분 현재 3.27% 하락한 104.3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델 주가는 이날 정규 거래에서 전일 대비 6.76% 하락한 107.83달러에 마감했다.
현재 델의 분기 매출 전망치는 225억∼235억 달러로 LSEG가 예상한 평균 235억 9천만 달러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조정 EPS 가이던스는 1.65달러로, 애널리스트 예상치인 1.76달러보다 낮다.
델은 2026 회계연도에 1천10억 달러에서 1천50억 달러의 매출을 예상했다. 이는 LSEG의 예상치인 1천31억 7천 만 달러에 거의 부합한다.
연간 EPS 전망치는 9.30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9.23달러를 웃돌았다.
순이익은 15억 3천만 달러(주당 2.15달러)로 증가해 전년 동기 12억 1천100만 달러(주당 1.66달러)에서 개선됐다.
델은 배당금을 18% 인상했으며, 10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승인했다.
■ 메타
메타 플랫폼스(NAS:META)가 오픈AI의 챗GPT와 경쟁하기 위해 독립형 AI(인공지능) 앱을 출시할 계획이다.
27일(현지시간) CNBC는 메타 AI가 페이스북·인스타그램·왓츠앱에 이어 소셜미디어 회사의 독립형 앱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메타는 현재 자사 플랫폼에서 챗봇인 메타 AI가 뉴스·주식·스포츠 등과 관련해 이용자 질문에 답할 때 구글 검색 등에 의존하고 있다. 챗GPT 등과 달리 메타 AI는 페이스북과 왓츠앱 등 자사 플랫폼을 통해서만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실적 발표에서 애널리스트들에게 "올해는 고도로 지능적이고 개인화된 AI 비서가 10억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도달하는 해가 될 것이며, 메타 AI가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메타는 지난 25일 메타 AI를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선보이기도 했다.
★ 발표된 경제 지표 ★
■ 미국 4분기 GDP 성장률 잠정치
미국 상무부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4분기 GDP 성장률 잠정치가 전기 대비 연율 2.3%로 집계됐다고 발표. 지난달 발표된 속보치 및 시장 전망치와 같았음.
■ 미국 신규 실업 보험 청구 건수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2일로 끝난 한 주 동안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는 계절 조정 기준 24만2천명으로 집계. 이는 직전주 대비 2만2천명 증가한 수치며 시장 예상치 22만1천명도 웃돈 결과.
이는 작년 10월 초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넉달 만에 최대
■ 트럼프, 캐나다 멕시코에 내달 4일 관세 발효, 중국 10% 관세 추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 상대로) 3월 4일 발효될 예정인 관세는 예정대로 발효될 것"이라고 밝혔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 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서 "마약은 여전히 매우 높고 용납할 수 없는 수준으로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우리나라에 쏟아지고 있다"라며 이렇게 적었음.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지난 4일 25%의 관세를 부과하려 했지만, 두 나라의 국경보안 강화 약속에 1개월 유예해준 바 있음.
트럼프 대통령은 "마약의 상당 부분은 대부분 펜타닐 형태이며 중국에서 제조되고 공급된다"면서 "작년에 10만명 이상이 이러한 위험하고 중독성 강한 독극물의 유통으로 사망했다"고 소개.
중국 관련해서도 "그날(3월 4일)에 중국도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받을 것"이라며 "4월 2일 상호관세 날짜는 그대로 유효하다"고 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