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P와 SCSP-
SSP (Strategic Studies Program): 1950년대 미국 대외전략을 주도한 *싱크탱크.
록펠러 재단 지원을 받으며 헨리 키신저가 설립.
주로 소련을 타깃으로 전략을 수립함.
SCSP (Strategic and Competitive Studies Program): SSP의 후계자를 자처하는 싱크탱크.
2021년 출범, 구글 CEO 등의 후원으로 공화당과 민주당을 아우르는 초당파 싱크탱크로 설립됨.
설립 목적: "AI와 신흥 기술에서 미국의 장기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제안.“
*싱크탱크: 특정 주제에 대해 연구하고 정책 제안을 하는 연구 기관.
-중국을 타깃으로 한 전략-
SCSP는 중국을 타깃으로 하고 있으며, 2024년에 "미국 차세대 에너지 리더십을 위한 국가 행동계획"을 제안.
SCSP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의 5년이 미국의 미래에 중요하다고 주장.
이 시기에 청정 에너지 공급망을 확보하지 못하면 중국에 기술 패권을 뺏길 것이라고 경고.
-우주 태양광 발전-
피터 글레이저 박사: 1968년 NASA에서 우주 태양광 발전에 대해 처음 언급.
지구 정지궤도(고도 3만 6000km)에서 태양광으로 전기를 만들어 지구로 전송하는 개념.
장점
우주에서는 구름이나 비가 없고, 항상 태양을 볼 수 있어 24시간 발전 가능.
햇빛이 대기를 통과하지 않아서 더 강하고 깨끗한 햇빛을 얻을 수 있음.
지상의 태양광보다 20배 더 많은 전력 공급 가능.
친환경 발전의 변동성을 줄일 수 있음.
-중국의 우주 태양광 발전-
2019년 중국 충칭에 우주 태양광 발전소 착공, 2021년 완공.
2023년, *마이크로파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 실험 결과 발표.
2025년, 충칭에서 테스트한 우주 태양광 발전소를 지구 정지궤도에 설치할 계획.
우주 삼협댐: 중국이 이 프로젝트를 "우주 삼협댐"이라고 부르며, 폭 1km의 구조물로 설계.
*마이크로파: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됨.
-미국의 대응-
2023년 12월 10일, X-37B 무인 우주왕복선 비밀리에 발사.
보잉사가 제작한 X-37B는 군사용 우주왕복선.
핵무기 배치와 적국 정찰 등의 군사적 임무 수행.
-우주 태양광 발전 실험-
X-37B에서 우주 태양광 발전 시연 및 연구가 진행됨.
미국 우주군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산된 에너지를 극초단파로 변환하여 지구로 송신하는 실험을 진행.
-우주 태양광 발전의 기술적 도전-
우주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 무선 전력 전송, 태양광 전지판 및 안테나 조립 및 제어.
기가와트급 발전을 위해 1-2km 폭의 태양광 전지판 설치 필요.
우주에서 기가와트급 마이크로파 빔을 전송하기 위해 최소 1km 크기의 안테나가 필요.
-국제 경쟁-
중국: 우주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할 계획.
미국: 2025년 우주 태양광 발전 위성 발사 예정.
유럽우주국 (ESA): '프로젝트 솔라리스' 시작, 2기가와트 전력을 지구로 송신할 계획.
-한국의 연구 및 개발-
한국 항공우주연구원에서 무선 전력 전송 기술 연구.
2024년 1.81km 거리 무선 전력 전송 실험 성공.
2030년까지 무선 전력 전송 테스트 및 2040년 중반까지 기가와트급 개발 계획.
-한국의 전력 시스템-
한국은 좁은 국토 면적과 사계절 뚜렷한 기후로 인해 풍력과 태양광의 전력 안정성이 낮음.
송전망이 잘 구성되어 있지만, 밀양 송전탑 갈등으로 송전망 확대가 주춤함.
전기차 보급과 관련한 전력 공급의 불확실성 문제.
-결론
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우주 태양광 발전은 중요한 기술로 부각되고 있음. 각국은 이 기술을 통해 에너지 독립과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려고 하며, 한국도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
※메르님의 블로그에서 인사이트를 얻어 이해하기 쉽게 다시 정리 요약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