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 공급 방식 비교-
파이프라인의 장점: 생산국과 소비국 간 거리가 가까우면 파이프라인이 가장 저렴한 천연가스 공급 방법임.
러시아는 EU로 파이프라인을 통해 천연가스를 공급함.
파이프라인 한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이 중단되자, 생산국과 소비국 간 거리가 멀어짐.
카타르, 미국, 이스라엘 등 주요 생산국은 소비국과 거리가 멀어 파이프라인 건설이 어려움.
-LNG로의 전환 필요성-
LNG 정의 및 장점: 천연가스를 -162°C로 냉각해 액체 상태(LNG)로 만들면 부피가 700분의 1로 줄어듦.
대량 수송 및 저장이 용이해짐.
수출입 인프라 필요
수출국: 유전에서 수출 항구까지 파이프라인과 액화 설비 필요.
수입국: LNG 운반선, 보관 시설, 기화 설비 등 필요함.
-LNG 시장과 주요 수출국-
주요 LNG 수출국: 세계 최대 LNG 수출국은 카타르임.
카타르는 육지 통로가 차단되어 전량 LNG로 수출하며, 2027년까지 연간 생산량을 7,700만 톤에서 1억 2,600만 톤으로 확대하는 프로젝트 진행.
기타 생산국: 미국, 이스라엘 등도 LNG 생산 및 수출에 집중함.
파이프라인 vs. LNG: 소비국이 파이프라인 건설이 어려운 지역(한, 중, 일, 대만, EU)과의 거래에서 LNG 운반선이 필수적임.
-LNG 운반선과 제조 경쟁-
LNG 운반선 필요성: 거리가 멀어 파이프라인 대신 LNG 운반선으로 수출·수입해야 함.
LNG 운반선은 안전 시설과 설비가 필수적이며, 매일 일부 LNG가 기화되어 손실됨.
운반선 기술
이중연료 추진 엔진: 한국이 2001년 처음 상용화, 중국은 2015년 상용화 완료.
일부 LNG가 기화되는 것을 연료로 사용하는 기술.
글로벌 경쟁: 미국은 LNG 수입항구를 LNG 수출항으로 전환하는 등 인프라 투자를 확대.
세계 최대 LNG 수출국 카타르의 대량 LNG 생산 확대 계획으로, 추가 LNG 운반선 주문이 급증함.
한국 vs. 중국 조선업: LNG 운반선 제조에서 한국과 중국이 주도하며, 건조 가격 경쟁 및 기술 경쟁이 치열함.
2017년 야말 프로젝트의 LNG선 4대를 중국 국영기업이 전량 수주하는 등 중국의 수주 경쟁력이 주목받았으나, 최근 안전 문제(예: 글래드스톤호 엔진 결함)로 중국 선박 신뢰도 하락.
-미국의 대응 및 USTR 조치-
USTR 보고서: 2025년 2월 21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의 불공정 조선·해운 시장 점유율 확대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함.
예정 조치: 중국산 선박에 대해 미국 항구 입항 시 톤당 최대 1,000달러 or 최대 150만 달러까지 수수료 부과 등 추가 관세, 수입 제한, 보복적 무역조치 검토 중.
미국은 향후 미국 선박을 통한 수출 비중을 점차 높여 강제 조치할 방침임.
-한국 조선업의 LNG 운반선 수주 현황-
수주잔고: 한국 조선 3사는 최근 3년치 LNG 운반선 수주잔고로 1,305억 달러 규모 보유.
HD계열(현대중공업 등) 680억, 삼성중공업 315억, 한화오션 310억 달러에 달함.
시장 점유율: 2024년 전세계 발주 LNG 운반선 중 441만 CGT(컨테이너톤)의 대부분을 한국 조선 3사가 수주.
경쟁력: LNG 운반선은 부가가치가 높으나, 도크 및 안벽 작업 시간 등 제조 공정의 제약으로 전체 생산 효율이 낮음.
한국 조선사는 LNG 운반선 외에도 컨테이너선, 탱커 등 다양한 선박 수주를 병행하여 효율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음.
-결론-
전략적 전환: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 중단으로 인해, 천연가스 주요 소비국은 파이프라인 대신 LNG 운반을 선택할 수밖에 없음.
글로벌 LNG 인프라: 주요 LNG 수출국(카타르, 미국, 이스라엘)과 주요 소비국(한국, 일본, 중국, 대만, EU)은 LNG 운반선 인프라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
미국 대응: USTR는 중국의 불공정 행태에 대해 추가 관세 및 무역제재 등 대응 조치를 준비 중이며, 이는 글로벌 해운 및 조선업 경쟁에 영향을 미칠 것임.
한국 조선업: 한국은 LNG 운반선 수주에서 글로벌 시장의 상당 부분을 확보하고 있으나, 중국과의 기술·가격 경쟁 및 미국의 무역 제재 등에 대응해야 할 과제가 있음.
※메르님의 블로그에서 인사이트를 얻어 이해하기 쉽게 다시 정리 요약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