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쇼핑의 증가-
사람들이 쇼핑하는 방법이 점점 온라인으로 바뀌고 있음.
온라인 쇼핑 비중이 높아지면 가격 비교가 용이해져 최저가가 아니면 판매가 어려워짐.
최저가 경쟁: 극도의 비용 절감으로 이어짐.
-비용 절감 전략-
공장에서 물건을 대량 주문하고, 최대한 3S(표준화, 단순화, 분업화)를 통해 비용을 줄이는 노력을 함.
최저가 경쟁에 뛰어들기 어려운 중소 유통상들과 전통적인 소매점은 하나둘 사라짐.
-일본의 쇼핑 패턴 변화-
고객의 행동 패턴은 일본에서 먼저 바뀌기 시작함.
일본의 백화점들은 10년 이상 연속으로 실적이 줄어들고, 이온 등 대형마트의 매출도 감소 중.
그 와중에 매출이 늘어나는 체인점: 돈키호테.
-돈키호테의 성공 전략-
설립: 1989년 3월 오픈.
영업시간: 오전 9시부터 새벽 5시까지 심야영업 시작.
젊은 층의 심야 쇼핑 수요를 공략.
압축 진열: 좁은 매장 복도 양측에 상품을 빈틈없이 진열하여 무질서한 공간을 만들어 쇼핑객들이 보물찾기를 하듯이 돌아다니게 함.
*야스다 타카오는 이런 무질서한 진열 방식을 역발상으로 활용.
*야스다 타카오: 돈키호테 창립
-돈키호테의 상품 분류-
핵심 상품: 현장 구매로 확보하는 상품.
망한 곳의 상품, 덤핑 상품, 반품 등을 직접 사들임.
절반 가격 이하로 사들인 상품을 30% 정도 싼 가격에 판매.
PB 상품: 2000년대 중반부터 중국, 베트남 등에서 자체 브랜드 상품을 판매.
기타 상품: 다양한 상품군으로 최대 10만 종까지 취급.
-가격 전략-
핵심 상품은 최저가로 설정하고, PB 상품은 마트보다 저렴하게, 기타 상품은 편의점보다 낮은 가격으로 구성함.
고객은 저렴한 가격의 핵심 품목을 보고 매장 내 모든 상품이 저렴할 것이라는 착각을 하게 됨.
-외국인 고객-
돈키호테의 주요 매출처는 외국인 여행객.
낮에는 관광을 하던 여행객들이 심야 시간에 쇼핑 목록을 한 번에 충족할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음.
외국어가 가능한 직원 배치 및 외국인이 선호하는 제품 비중 확대.
-돈티호테의 인기 상품-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이 주요 매출 품목.
일본 여행 시 개인적으로도 돈키호테를 방문하여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구입함.
주요 제품: 정로환, 용각산, 카베진, 나토키나제, 스토파정 등.
-건강기능식품의 정의-
건강기능식품은 1980년 일본에서 개념이 형성됨.
일본 후생성은 식품에 3가지 기능을 부여함: 영양 공급 기능, 맛 등의 기호 기능, 생체조절 기능
기능성 식품은 특정 효과가 확인된 식품에 대한 명칭.
-한국의 건강기능식품 법률-
한국 식약처는 건강기능식품을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해 제조한 식품으로 정의함.
건강기능식품의 60% 이상이 온라인으로 판매되고, 마트, 홈쇼핑, 약국이 뒤를 이음.
-다이소의 건강기능식품-
다이소에서 대웅제약, 종근당건강, 일양약품의 제품들이 입점됨.
가격은 3천 원에서 5천 원 사이로, 온라인 판매와 유사한 수준임.
-결론-
현대의 쇼핑 방식은 온라인으로의 전환과 함께 최저가 경쟁, 다양한 상품 전략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일본의 돈키호테와 같은 성공 사례가 새로운 유통 모델을 제시하고 있음.
건강기능식품 시장도 활성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들이 소비자에게 제공됨.
※메르님의 블로그에서 인사이트를 얻어 이해하기 쉽게 다시 정리 요약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