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한민국 연령대별 평균소득이라고 하는데요.
회사에서 가장 열심히 일할
나이만 따로 본다면,
30~34세 : 319만원
35~39세 : 368만원
40~44세 : 392만원
45~49세 : 395만원
49세를 피크로
50세부터는 평균 월급이 내리막길로 갑니다.
당연한게 50대부터는
자발적 혹은 타의적으로 퇴사 후
재취업을 하게 될텐데,
기존 직장의 월급보다 훨씬 줄어들테니깐요.
(주변에 보면 50%이상 줄어들음)
2.
결국 우리나라 월급의 피크는
40대 중후반이고,
이는 400만원,
맞벌이면 월 800만원....
많아보일수도 있으나,
아이 1명 혹은 2명 키우면서
주담대 상환중이면
그렇게 여유있지도 않습니다.
3.
회사 본업에서 월급을 늘리기가 쉽지는 않으나,
부수입(배달, 컨텐츠 소득)을 통해
월 40만원만 더 벌어도
연봉이 10% 이상 상승하는 효과를 봅니다.
매년 연봉협상 시 4%만 올려줘도
감지덕지인데 10%라니...
이 추가소득 40만원을 지출을 하지말고
미국주식에 투자를 통해 복리로 불리면
한마디로 선순환 구조를 만들게 되는거죠.
많아보일수도 있으나,
아이 1명 혹은 2명 키우면서
주담대 상환중이면
그렇게 여유있지도 않습니다.
3.
회사 본업에서 월급을 늘리기가 쉽지는 않으나,
부수입(배달, 컨텐츠 소득)을 통해
월 40만원만 더 벌어도
연봉이 10% 이상 상승하는 효과를 봅니다.
매년 연봉협상 시 4%만 올려줘도
감지덕지인데 10%라니...
이 추가소득 40만원을 지출을 하지말고
미국주식에 투자를 통해 복리로 불리면
한마디로 선순환 구조를 만들게 되는거죠.
직장인들은
회사만 믿지말고
자신의 취미 혹은
접근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배달소득, sns 컨텐츠 소득에 집중해
부수입을 만들어 보시길 바랍니다.
안그럼 50대에 후회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