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슈퍼마이크로 최근 규제 이슈 해결

2. 슈퍼마이크로 CEO의 비전

3. 슈퍼마이크로 최근 재무 실적

4. SMCI 주가 및 전망


슈퍼마이크로 최근 규제 이슈 해결

안녕하세요, 미국주식 연구센터입니다.

슈퍼마이크로(Super Micro Computer, NASDAQ: SMCI)가 오랜 기간 주주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던 규제 문제를 마침내 해결했습니다. 2025년 2월 25일, 2024 회계연도 연례 보고서(10-K) 및 2025 회계연도 1, 2분기 분기 보고서(10-Q) 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하면서 나스닥 상장 요건을 다시 충족하게 된 것이죠.

이로써 상장 폐지 가능성이라는 불확실성이 (적어도 지금으로서는) 완전히 해소되었고, 규제 문제는 (역시나 적어도 지금으로서는)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기존 재무제표에 대한 정정(Restatement)이 필요하지 않았다는 것인데요. 일반적으로 보고서 제출이 지연될 경우, 기업의 회계 문제나 내부 통제상의 심각한 결함이 의심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슈퍼마이크로의 경우, 과거에 발표했던 재무 정보가 정확했고, 단순한 행정적 지연이었음이 확인됐다고 합니다.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시그널이 될 수 있죠. SMCI 주주들이 마음고생이 많았었을 텐데 한시름 덜게 되었습니다.

다만, 슈퍼마이크로 측은 보고서 제출이 늦어진 구체적인 이유나 내부적으로 어떤 개선 조치를 취했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향후 실적 발표나 투자자 대상 행사에서 보다 명확한 정보가 공개될 필요가 있는데, 어쩌면 이게 회사의 장기적인 거버넌스 신뢰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슈퍼마이크로 CEO의 비전

슈퍼마이크로의 창업자이자 CEO인 찰스 량(Charles Liang)은 보고서 제출 이후 공식 성명을 통해 회사의 미래 전략을 강조했습니다.

슈퍼마이크로가 AI 서버 및 데이터센터 솔루션 시장에서 기술 혁신과 빠른 시장 대응력을 무기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특히, “Data Center Building Block Solutions(Supermicro 4.0)”“Direct Liquid Cooling(DLC)” 기술을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고, 이를 통해 AI 및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와 함께, 슈퍼마이크로는 엔지니어링, 영업, 재무, 회계, 내부 통제 등 전 부문에서 적극적인 투자와 인력 충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사업 확장 개념을 넘어, 내부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향후 회계 및 보고 체계의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슈퍼마이크로 최근 재무 실적

한편 슈퍼마이크로는 최근 발표한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에서 전년 대비 5%의 순이익 증가와 54%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AI 및 고성능 서버 시장에서 꾸준히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여전히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죠.

그러나 연간 매출 가이던스는 기존 예상치보다 하향 조정되었는데요. 슈퍼마이크로 경영진은 2025 회계연도 매출 가이던스를 235억~250억 달러로 수정했는데, 이전에 발표했던 260억~300억 달러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단기적인 성장 둔화 우려를 낳을 수 있는 요소이긴 하지만, 슈퍼마이크로는 2026 회계연도에는 400억 달러 매출 달성을 목표로 제시하며 장기적인 성장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SMCI 주가 및 전망

슈퍼마이크로가 드디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고서를 제출했다는 소식이 나오자 시장 반응은 긍정적이었습니다. 보고서 제출 이후 슈퍼마이크로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 가격으로 23% 급등하고 있는데요. 정규장 시작과 함께 뚜껑이 열러봐야 알겠지만, 적어도 2월 26일 밤 프리마켓 기준으로 투자자들의 신뢰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회계 보고 지연으로 인해 억눌려 있던 투자 심리가 이번 발표를 계기로 다시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죠.

SMCI 주가는 지난 1년 간 약 50% 하락했었는데요. 2024년 초까지만 해도 역대 최고 주가 상승률을 기록 중이던 주식 중 하나였는데 상승분을 모조리 반납하고 말았습니다. 다만 2024년 말에 바닥을 찍고 오르는 모습인데, 이번에 상장 폐지 위기를 모면하면서 상승세로 돌입하게 되면 적어도 70 달러에서 90 달러 사이까지는 오를 수 있을지 않을가 생각합니다.

주가 반등은 주주들에게는 분명 긍정적인 시그널이지만, 여전히 몇 가지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포인트가 있겠습니다.

첫째,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입니다. 지난 분기 실적에서 매출이 50% 이상 증가한 것은 매우 고무적이지만, 연간 가이던스가 하향 조정된 것은 일시적인 시장 수요 둔화 가능성을 시사할 수도 있습니다. 슈퍼마이크로가 향후 1~2년 내에 다시 높은 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을지가 핵심이죠.

둘째, 내부 통제 및 거버넌스 개선 여부입니다. 이번 보고서 제출로 규제 리스크는 해소되었지만, 향후에도 비슷한 회계 지연 사태가 반복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합니다. 회사가 내부 회계 및 보고 체계를 어떻게 개선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죠.

셋째, 향후 실적 발표의 중요성입니다. 이번 주가 상승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려면, 2025년 후반기 실적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다시 입증해야 합니다. 만약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현재의 주가 상승세는 단기적인 반등에 그칠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슈퍼마이크로는 최근 몇 개월 동안 규제 문제로 인해 불확실성이 컸던 종목이고, SMCI 주주들 같은 경우 어제만 해도 부디 회사가 데드라인 전까지 보고서를 업로드하길 바라며 웹사이트를 계속 새로고침했었던 만큼 위기는 모면했습니다.

AI 및 데이터센터 서버 시장에서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고, 2026 회계연도 400억 달러 매출 목표를 제시하는 등 장기적인 전망도 긍정적이지만, 회사가 제시한 높은 성장 목표를 실제로 달성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텐데요. 우선 다음 분기 실적 발표 및 내부 거버넌스 개선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봐야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회계 이슈가 발생한 회사는 아무리 섹터 환경이 좋더라도 투자를 하지 않는데,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많은 종목이기 때문에 계속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연 슈퍼마이크로는 회계 관련 오명을 벗고 다시 성공적으로 주가 상승에 돌입할 수 있을까요? 의견 나눠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금까지 미국주식 연구센터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