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다우 지수가 강보합을 유지했으나, 나스닥과 S&P500, 러셀2000은 하락하며 혼조세 마감
컨퍼런스보드에서 발표하는 소비자신뢰지수가 2021년 8월 이후 가장 큰 낙폭을 보이면서 경기 둔화 우려를 자극하자 미국 국채 금리는 하락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를 한 달간의 유예 기간이 끝나면 예정대로 부과하겠다고 밝혔고, 트럼프 최측근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은 캐나다를 파이브 아이즈에서 퇴출시키는 방안을 제안하며 긴장감을 고조시킴
증시는 경기 방어주와 부동산, 헬스케어 등 금리에 민감한 섹터들이 상승하며 다우 지수를 견인했으나, 실적 발표를 앞둔 엔비디아와 판매량 부진 소식이 들려온 테슬라, 고밸류 논란이 있던 팔란티어를 중심으로 기술주는 하락세를 주도
주요 뉴스 헤드라인
美 2월 소비자신뢰도 98.3…3년 반만에 최대폭 하락
"연준 올해 2번 내릴 것"…경기침체 우려에 美채권가격 '고공행진'
트럼프 "캐나다·멕시코 25% 관세, 일정대로 진행"
"트럼프 최측근, '파이브 아이즈'서 캐나다 퇴출 제안"
트럼프 "젤렌스키 28일 방미"…미-우크라 광물협정 서명 예정(종합2보)
트럼프 대중 반도제 수출 통제 강화, 인텔 5.27% 급락
[뉴욕유가] 美경기둔화 우려에 2개월래 최저…WTI 2.5%↓
소비자신뢰지수 급락, 다우 제외 일제↓ 나스닥 1.35%(상보)
비트코인, 9만달러선 붕괴…한때 8만5천달러대 거래
슈퍼마이크로 나스닥에 보고서 제출, 시간외서 21% 폭등(상보)
S&P500 맵
테슬라(TSLA) 중국에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인 FSD를 출시했으나, 미국과 중국, 유럽 시장에서 모두 판매량이 감소했다는 소식에 하락
엔비디아(NVDA) 실작 발표에 대한 불안감과 트럼프의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 강화 소식에 하락
애플(AAPL) 인도네시아 정부가 아이폰16 판매 금지를 해제했고, 주주총회에서 다양성 정책 폐지 안건이 부결되었다는 소식과 함께 약보합 마감
일라이릴리(LLY)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Organovo의 FXR 프로그램을 인수했다는 소식과 함께 상승
홈디포(HD)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하자 상승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회계 부정 의혹으로 상장 폐지 위기를 맞으며 하락했으나, 장 마감 후 나스닥에 회계 관련 서류를 제출했다는 소식에 시간외 급등
섹터 실적
경기 둔화 우려로 국채 금리가 하락하면서 경기 방어주, 부동산, 헬스케어, 산업재 순으로 강세
빅테크 기업들이 하락을 주도하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기술 섹터가 하락했으며, 경기 둔화 우려에 유가가 하락하며 에너지 섹터도 약세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컨퍼런스보드(CB) 소비자신뢰지수가 3년 반만에 최대폭으로 하락하자 경기 둔화 우려가 자극되며 전반적으로 하락
장중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와 3개월물 국채 금리가 일시적으로 역전되기도 함
미국 2월 CB 소비자신뢰지수는 98.3으로 예상치 하회, 이전 대비 감소
환율
달러 지수는 하락하며 달러 약세
원화 강세, 엔화 약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하락하여 공포(Fear) 단계에서 극도의 공포(Extreme Fear) 단계로 진입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상승하며 변동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