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5일 오전 기준금리를 연 3.0%에서 연 2.75%로 0.25%포인트 인하
기준금리가 2%대에 진입한 건 지난 2022년 10월 11일(2.50%) 이후 2년 4개월여 만
저성장 우려가 커지면서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 조치를 더 늦출 수 없다고 판단
한은은 우리나라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1.9% 전망에서 낮아진 1.5%로 수정 제시
이번 인하로 미국 기준금리와 격차는 다시 1.5%포인트로
한은은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1.9%로 잡음
(자료 : 조선일보)
<시사점>
오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습니다. 이미 시장이 예상했고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큰 영향은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가 경기부진에 빠져들고 있기 때문에 금리인하가 필요하지만 과다한 가계부채와 서울 중심지의 부동산가격 상승 등으로 인하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가 오늘 단행하기에 이르렀습니다. 환율 여건도 개선되었고 해서 시시적절한 인하였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해 준다면 한국은행 금통위가 추가 금리인하를 단행하는데 부담이 적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높아질 가능성으로 인해 미국 측 금리인하를 기대하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물가가 비교적 안정되어 있어 추가 금리인하가 가능한 상태이지만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늦어져 한국 역시 추가 금리인하에는 신중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금리가 인하하면 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이 축소되기 때문에 은행 섹터에는 부정적입니다. 금리가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는 대출금리 적용 속도를 조정해 은행의 마진이 확보되지만 저금리 상태에 머물게 되면 점차적으로 대출금리가 예금금리에 맞추어 현실화되면서 NIM이 축소됩니다. 장기적으로 금리인하기에 들어서면 은행섹터는 부정적으로 봐야 합니다. 그동안 높은 금리로 인해 높은 수익을 거두어 이미 상당히 높은 가격에 올라와 있는 은행섹터는 10~50%의 조정이 나올 수 있습니다.
기술주나 바이오 주 등에 도움이 되려면 기준금리가 좀 더 내려와야 할 것 같습니다. 아니면 향후 1~2년간 기준금리가 빠르게 하향 할 수 있다는 기대가 형성된다면 기술주의 반등이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관련 기사>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50225/1310981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