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요구-
트럼프가 우크라이나에 전쟁 무기 지원 대가로 희토류 매장량의 절반을 요구함.
이는 무리한 요구로 여겨지며 트럼프는 희토류 자체보다 다른 전략적 이익을 원할 가능성이 있음.
이러한 요구는 국제 정치에서 자원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결과임.
-희토류의 중요성-
정의: 희토류는 17종의 희귀 금속 원소로 구성됨.
현대 기술의 핵심 자원으로 자리 잡고 있음.
사용 예: 희토류는 아이폰, F-35 스텔스기 등 첨단 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됨.
네오디뮴: 강력한 자석을 만들어 자석 소형화가 가능하고 전자기기에서 공간 절약을 가능하게 함.
디스프로슘: 고온에서도 자석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고 고성능 모터 및 발전기에서 필수적임.
-희토류 생산과 공급망-
트럼프는 희토류 공급망 강화를 위해 국방부에 관리 권한을 부여함.
국가 안보 차원에서 중요함.
미국은 희토류의 중요성을 늦게 인식하였음.
중국과의 관계
*마그네퀸치: GM의 자회사로, *Nd-Fe-B 영구자석의 상업화를 위해 설립됨.
이 회사의 기술이 중국에 넘어간 결과, 중국은 희토류 생산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됨.
중국의 생산량: 중국은 전 세계 Nd-Fe-B 영구자석의 75%를 차지함.
이는 미국의 전략적 우위를 약화시키는 결과임.
*마그네퀸치: GM이 설립한 희토류 자석 제조 회사로, 이후 중국에 인수됨.
*Nd-Fe-B 영구자석: 네오디뮴 자석
-디스프로슘과 환경 문제-
디스프로슘은 상업적 매장지가 한정되어 있음.
채굴 과정에서 심각한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해 지역 주민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침.
채굴 과정: 황산암모늄 용액을 사용하여 디스프로슘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대량의 폐수가 발생함.
이로 인해 수질 오염과 생태계 파괴가 초래됨.
1톤의 디스프로슘을 정제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양의 폐기물이 발생함.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우크라이나에는 경희토류가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나, 상업적 가치가 있는 중희토류는 발견되지 않음.
미국은 우크라이나에서 가공할 수 있는 땅을 원할 가능성이 있음.
전략적 위치: 우크라이나의 지리적 위치는 희토류 가공 시설 구축에 유리함.
이는 미국의 자원 확보 전략에 중요한 요소가 됨.
-그린란드와 기업들-
트럼프는 그린란드의 희토류 매장량에도 큰 관심을 보였음.
크바네펠트 광산: 세계 최대급 희토류 광산으로, 중국계 기업이 개발 중임.
경희토류와 중희토류가 함께 매장되어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함.
탄브리즈 광산: 미국의 광물 개발 업체인 크리티컬 메탈스가 인수하였으며, 이곳은 디스프로슘 매장량이 많음.
채굴 허가가 이미 나 있어서 빠른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크리티컬 메탈스는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광산도 확보하였으나, 러시아의 점령으로 인해 권리가 사라질 위험이 존재함.
이로 인해 미국의 자원 확보 전략이 위협받는 결과임.
-결론-
트럼프의 요구는 단순한 자원 확보를 넘어서 전략적 위치와 가공 시설 확보를 위한 시도로 해석됨.
희토류는 현대 기술의 필수 요소이며, 각국은 자원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이러한 경쟁은 국제 정치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메르님의 블로그에서 인사이트를 얻어 이해하기 쉽게 다시 정리 요약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