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기
주택담보대출 6억 원을
10년안에 상환한
아주 멋진 맞벌이 부부가 있습니다.
2.
심지어 딩크족도 아니고
애가 2명인데도,
매년 6천씩 저축해
10년에 6억 원 상환해버림
쉽지는 않지만
대기업 맞벌이라면 절대 불가능한게 아닙니다.
남편의 소득은 온전히 저축 및 상환하고
아내의 소득은 생활비로 사용한다면
10년에 6억 원 상환가능하죠~
물론 둘다 월소득(실수령액) 500만원 이상이어야
어느정도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만
3.
회사에서 명퇴를 당하지 않는한
물가가 꾸준히 오르듯이
월급도 계속 우상향하기 때문에
본인이 아직 젊다면(20~40대)
집을 살때 지금 소득만 따지지말고
미래의 기대소득까지 감안해
부동산을 매입해야
나중에 후회가 적습니다.
상급지가
하급지보다
더 오르는것은
역사적으로도
향후에도
명백하기 때문이죠.
4.
일례로 저 부부가 10억 원 짜리 아파트를
주담대 6억 대출받아 매수했다고 봅시다
(자기자본 4억 원)
10년안에 6억을 다 갚았으니
순자산은 10억인가요?
10년동안 10억짜리 아파트가 그대로 10억일까요?
최소 15억~17억 원 되어있을겁니다.
그럼 순자산은 16억 원 정도인거죠.
만약 대출이 무서워
지금 당장의 삶에 안주해
4억짜리 집을 샀다면 어떨까요?
(자기자본 4억)
10년후에 순자산은
부동산 값 6억 원 + 저축액 4억 원
=10억 원일겁니다.
벌써 6억 원의 갭차이가 발생합니다.
* 강제성이 없으니 저축을 6억 원이나 했을리 만무함
5.
10년 후
16억 원짜리 집을 가진 부부는 20억 원
넘어가는 마용성 아파트를 바라볼테고
6억 원짜리 집을 가진 부부는(+현금 4억 원)
10억 원대 '노도강', '금관구' 아파트를 노리겠죠
작은 부자가 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1) 소득을 꾸준히 계속 늘리고,
2) 좋은 자산을 하루라도 빨리 대출받아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