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순이익 333% 급등, 광고 수익 증가

2. 글로벌 이커머스 확장

3. AI와 클라우드, 알리바바의 미래 전략 핵심

4. 자사주 매입과 비핵심 자산 정리

5. 알리바바 주가 전망


안녕하세요 미국주식 연구센터입니다.

중국 대표 기업인 알리바바(NYSE: BABA)가 20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요즘 중국 주식 주가가 잘 나가는 편인데, 실적 발표 직후 주가가 급등하며 다시 한 번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켰죠.

이번 실적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AI 및 클라우드 매출의 지속적인 성장, 이커머스 수익화 개선, 그리고 적극적인 자사주 매입이었는데요. 특히 AI와 클라우드 부문에 대한 대규모 투자 계획이 공개되면서, 향후 수익성이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오늘 콘텐츠에서는 알리바바의 최신 실적, 핵심 성장 동력,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리스크와 기회를 상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순이익 333% 급등, 광고 수익 증가

숫자 얘기부터 해보죠. 알리바바의 2024년 4분기 성적표는 화려했습니다. 총 매출은 2,802억 위안(약 38.4억 달러)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8% 성장했는데, 시장 예상치인 2,620억 위안을 훌쩍 넘어섰습니다. 특히 순이익은 무려 333% 급등해 464억 위안(약 64억 달러)에 달했는데, 운영 효율성 향상과 투자 자산 평가 이익 덕분이라고 합니다. 비-GAAP 순이익은 6% 늘어난 511억 위안, 주당순이익(ADS 기준)은 13% 오른 2.93 달러로 애널리스트 전망을 상회했습니다.

한편 알리바바의 핵심 사업인 타오바오(Taobao)와 티몰(Tmall)은 매출 1,361억 위안(약 192억 달러)을 기록하며 5% 성장했습니다. 최근 몇 년간 경쟁 심화로 인해 마켓플레이스 사업이 다소 부진했었는데, 수익성 강화를 위한 전략적 변화를 보여주며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되었던 거죠.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광고 및 서비스 수익이 증가한 것이었는데요. 고객 관리 수익(CMR)은 전년 대비 9% 증가했고, AI 기반 광고 도구인 ‘Quanzhantui(全站推, QZT)’의 도입이 마케팅 최적화를 이끌면서 광고 매출이 개선되었습니다. 또한, 알리바바의 유료 멤버십 서비스인 ‘88VIP’ 가입자가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가며 4,900만 명을 돌파하면서, 일반 소비자보다 8~10배 높은 평균 구매액(ARPU)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충성 고객 기반을 강화한 건데, 연말 쇼핑 시즌의 강한 소비 수요가 이러한 성장을 뒷받침했다고 볼 수 있겠네요.

글로벌 이커머스 확장

해외 이커머스 부문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와 터키에서 운영 중인 이커머스 플랫폼 트렌디올(Trendyol)의 강한 성장에 힘입어, 국제 디지털 커머스(AIDC) 매출은 매출 378억 위안(약 52억 달러)을 기록하며 32% 성장했습니다. 특히, 알리바바는 국제 디지털 커머스 사업이 2025 회계연도부터 수익성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이에 따라 글로벌 확장 전략을 더욱 공격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글로벌 확장은 단기적으로 비용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요. 물류비 상승과 마케팅 비용 증가, 그리고 현지 경쟁 심화 등의 요인이 단기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AI와 클라우드, 알리바바의 미래 전략 핵심

이번 실적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단연 AI와 클라우드 부문이었습니다. 알리바바 CEO 에디 우(Eddie Wu)는 AI와 클라우드가 회사의 미래 성장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는데요. "향후 3년간 AI 및 클라우드 인프라에 투자할 금액이 지난 10년 동안 투자한 총액을 초과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AI 중심 기업으로의 변화를 가속화할 것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실제로 알리바바 클라우드 매출은 317억 위안(약 43억 달러)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3% 증가했고, AI 관련 매출은 6분기 연속 세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AI 모델 ‘Qwen(췐)’을 기반으로 한 파생 모델이 90,000개 이상 개발되었는데, 290,000개 이상의 기업 및 개발자들이 이 API를 활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최근 몇 개월 동안 AI 추론(Inference)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면서 클라우드 비즈니스의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졌죠.

에디 우 CEO는 인간 능력의 80%를 대체할 수 있는 AI인 AGI를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고 밝히면서 이게 세계 GDP의 50%에 영향을 줄 잠재력을 가진다고 봤습니다. 향후 3년간 AI와 클라우드에 지난 10년 총합을 넘는 투자를 계획 중이라고 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 발언이고, 이 규모가 수백억 달러에 이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또한 알리바바는 AI 및 클라우드 기술을 모든 사업에 통합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고, AI 기반 솔루션을 통해 이커머스, 기업 소프트웨어, 물류 및 핀테크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데요. 췐(Qwen) 모델로 클라우드 생태계를 키우면서 기업용 협업 툴인 딩톡(DingTalk)도 AI로 재무장 중이고, 자연어 기반 CRM/ERP 통합과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으로 기업 생산성을 혁신하려는 움직임이 눈에 띕니다. 현재 알리바바가 클라우드 서비스 측면에서 아시아 1위, 글로벌 4위 포지션이라고 하는데 경쟁력이 더욱 공고해질 수 있어 보입니다.


자사주 매입과 비핵심 자산 정리

알리바바는 최근 몇 년간 대규모 자사주 매입 정책을 펼치며 주주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번 분기 동안 13억 달러(약 1.7조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며 전체 주식 수를 0.6% 줄였다고 하는데요. 뿐만 아니라, 지난 9개월 동안 100억 달러(약 13조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며 총 주식 수를 5% 줄이는 성과를 냈습니다. 현재 알리바바는 20.7억 달러(약 27조 원) 규모의 추가 자사주 매입 계획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몇 분기 동안 주가 부양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비핵심 사업 정리도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리테일 부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선아트(Sun Art)와 인타임(Intime) 백화점 사업을 매각했죠. 선아트는 16억 달러, 인타임은 10억 달러에 매각되었는데, 이를 통해 핵심 사업에 집중하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기업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수익성을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네요.


알리바바 주가 전망

수익성 개선과 자사주 매입, 그리고 AI에 대한 기대감으로 알리바바 주가는 실적 발표 직후에 급등했습니다. 지난 1개월 동안 60% 상승하면서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AI 및 클라우드 분야에서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고, 이커머스 부문의 수익화도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가수익률도 30 근처라서 비싼 수준은 아닙니다.

게다가 지난 5년 동안 주가 상승률이 여전이 -36%입니다. 투자 심리가 나아지면서 FOMO도 발생하면 주가 상승 여지는 높아 보입니다.하지만, 짧은 시간에 빠르게 주가가 상승한 만큼 단기적으로 주가 조정이 발생할 수도 있는 점은 조심해야겠습니다.

추가적으로 대규모 투자에 따른 수익성 감소와 중국 내 규제 불확실성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AI 및 클라우드 사업에서의 막대한 투자로 인해 단기적인 비용 부담이 증가할 전망인데, 이에 따라 순이익 감소가 불가피할 수 있죠. 자유 현금 흐름(FCF)이 31% 감소한 점도 눈여겨봐야 하겠는데요. AI 및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가 증가하면서 현금 흐름이 감소하고 있는데, 이게 향후 몇 분기 동안 유동성 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겠습니다.

현재 알리바바 주식 커버리지는 11명으로 이중 9명이 매수 의견을, 2명이 홀드 의견을 유지 중입니다.

애널리스트 목표가 평균은 137 달러로 현재 주가와 다름이 없는데, 실적 발표 직후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한 애널리스트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추가로 상승할 여지는 있어 보입니다.

과연 알리바바는 잃어버린 3년을 빠른 시간 안에 되찾을 수 있을까요? 현재 알리바바 주가는 역사적 저평가 구간에 머물러 있는데, 주주라면 향후 클라우드 수익성 개선 여부, AI 서비스의 실제 매출 기여도, 그리고 자유 현금 흐름 회복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여러분은 알리바바의 AI 및 클라우드 전략이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의견을 공유해주세요!

지금까지 미국주식 연구센터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