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투자용 부동산이 아닌
실거주용 부동산을 살때 저는
레버리지에 상당히 관대한 편인데,
아래의 상황은 저도 약간
애매하네요.
월 실수령 약 440정도
연말 성과금 세후 평균 2000-2500
6억 40년 원리금 금리4프로 기준
약 250 상환인데 가능할까?
매달 모으는건 사실 못한다고 보고 연말 성과금으로 돈 모아야할 것 같은데
사실 지금도 체증식이라 이제 월 190내곤 있는데
뭐 그럭저럭 낼만하지 싶기도 하고
다들 이렇게 살아가는건가
--------------------------------------------------------------------------------------------------------------
2.
우리나라 최고의 기업중 하나인
삼성전자에 다니니
근로소득 걱정안해도 될거 같은데
월 실수령액이 생각보다 적음
440만원...
성과급 2000~2500만원을
1/12 한다면 매월 200만원 추가로
받는셈인데,
그럼 최종 실수령액은 640만원!
거의 연봉 1억 수준입니다.
월급(640만원)에서
주담대 상환액(250만원)을
제외한 가처분소득은
월 390만원.
결혼은 했지만
아직 자녀가 없기에
2인가구 기준 생활비
충분히 감당가능하다고 판단되고
평상시라면 매수 콜!
의견 드리겠지만
3.
문제는 바로 성과급
월급 640만원이 기본급이 아니라
성과급 포함이라는 점이 걸립니다.
2천만원이 넘는 성과급이
매년 일정하게 나온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죠.
물론 삼성전자 실적이 좋아
어느해는 성과급이
3천, 4천만원이 나올수도 있지만
대출을 받을때는 항상
보수적으로,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는게
맞습니다.
성과급이 1천만원 이하로
혹은 안나오게 되면
내가 생활비를 과연 감당할 수 있나?
그 고민을 해봐야합니다.
가능하면 'go' 하는거고
불가능하면 'stop' 해야합니다.
4.
향후 자녀 계획도 있다면
더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바라보면,
맞벌이(double income)의 위력이
어마무시한겁니다.
사실 요즘은 여성의 학업성취도 및
사회진출률이 워낙 높아
신혼부부 대부분이
맞벌이기도 하고
(여자가 더 잘 버는경우도 많음)
가계 고정소득이 월 200만원만
늘어나도 생활비에 엄청 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레버지리 측면에서도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자녀를 낳고
개인사정상 외벌이를 선택할 수 밖에
없는 부부도 많겠지만
만약 더블인컴이 가능하다면
(최소 100만원이라도)
이 시기에 최대한 더블인컴의
메리트를 누리며 자산축적을
해둬야합니다.
심은 맞벌이(더블인컴)의 위력이
상당히 중요하다는것 입니다.
직장인 1명의 월급으로 할 수 있는것을
2배로 할 수 있다는것!
생활비도 2배로 여유롭고
대출금도 2배로 받을 수 있고
저축도 2배로 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 복리효과로
2배 효과가 4배, 8배로 될수도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