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는 '13F 보고서에서 공개된 월가 거장들의 매수 종목 - 2부'를 통해 투자 거장이라 불리는 마이클 버리, 빌 애크먼, 스탠리 드러켄밀러의 포트폴리오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이어서 또 다른 투자 거장들의 13F 보고서 포트폴리오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 투자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투자 아이디어를 생각해보자.

월가 거장들의 포트폴리오 변화

출처 입력

최근 발표된 13F 문서를 통해 월가 거장들의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자.

캐시 우드

Cathie Wood




캐시 우드는 ARK 인베스트(ARK Invest)의 설립자 겸 CEO로, 혁신 기술 중심의 성장주 투자 전략으로 유명하다.

AI, 전기차, 바이오테크 등 고성장 기술주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며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 혁신이 가져올 시장 변화를 중시한다.


최근 분기 13F에서 ARK 인베스트의 매수 종목 Top 5는 다음과 같다.

  • Archer Aviation (ACHR) +1.78% :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개발 기업

  • Amazon.com (AMZN) +1.04% : 글로벌 전자상거래 및 클라우드(AWS) 시장의 강자

  • Illumina (ILMN) +0.76% : 유전체 분석 및 생명공학 기술 선도 기업

  • GitLab (GTLB) +0.42% : 소프트웨어 개발 및 협업 플랫폼 제공 기업

  • Natera (NTRA) +0.37% : 비침습적 산전 검사(NIPT) 및 암 유전자 검사 기업


최근 분기 13F에서 ARK 인베스트의 매도 종목 Top 5는 다음과 같다.

  • Unity Software (U) -1.17% : 게임 및 산업용 3D 콘텐츠 엔진 개발사

  • Roku (ROKU) -1.06% : 스트리밍 플랫폼 및 광고 기반 미디어 기업

  • Moderna (MRNA) -0.71% : mRNA 기반 백신 및 치료제 개발사

  • Block (XYZ) -0.58% : 결제 플랫폼 및 핀테크 솔루션 제공 기업

  • DraftKings (DKNG) -0.45% : 온라인 스포츠 베팅 및 카지노 플랫폼 운영 기업


캐시 우드가 이끄는 ARK 인베스트의 투자 전략 변화는 다음과 같다.

  • 전기 항공기(ACHR), 유전체 분석(ILMN), AI·클라우드(AMZN, GTLB) 등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 매수

  • 헬스케어 및 바이오 테크 섹터에서도 유전체 분석(ILMN, NTRA) 관련 기업은 매수하면서도 코로나 백신 수요 감소 우려로 백신(MRNA) 관련 기업은 매도하며 선별적 접근

  • 테크 기업에서도 AI·클라우드(AMZN, GTLB) 성장 수혜 기업은 매수하면서, 성장성 둔화 우려가 있는 기업(U, ROKU) 포지션 축소


캐시 우드의 투자를 참고한다면 전기 항공기, 유전체 분석, AI 등 혁신 기술이 미래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장기적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경쟁 심화로 성장성이 둔화된 기업은 비중을 축소하여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중심으로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켄 피셔

Ken Fisher




켄 피셔는 피셔 인베스트먼트(Fisher Investments)의 회장으로, 성장주와 가치주를 결합한 투자 전략과 글로벌 분산 투자, 장기 투자 성향을 가지고 있다.

빅테크 및 헬스케어 중심의 투자 확대하고 있으며, 장기적 관점에서 혁신 기업과 가치 있는 대형주를 선호한다.


최근 분기 13F에서 피셔 인베스트먼트의 매수 종목 Top 5는 다음과 같다.

  • Broadcom (AVGO) +0.55% : 반도체 및 인프라 소프트웨어 솔루션 기업

  • Amazon.com (AMZN) +0.53% : 클라우드(AWS) 및 전자상거래 산업의 글로벌 리더

  • NVIDIA (NVDA) +0.44% : GPU 및 AI 반도체 시장의 선두주자

  • Alphabet (GOOGL) +0.42% : 구글 검색, 유튜브, 클라우드(AI 기반) 기술 혁신 기업

  • Apple (AAPL) +0.31% : 아이폰, 서비스(앱스토어·구독 서비스) 및 반도체 자체 개발 강화


최근 분기 13F에서 피셔 인베스트먼트의 매도 종목 Top 5는 다음과 같다.

  • Freeport-McMoRan (FCX) -0.32% : 구리 및 금 채굴 기업

  • Novo Nordisk (NVO) -0.22% : 당뇨 및 비만 치료제 글로벌 제약사

  • ASML Holdings (ASML) -0.22% : 반도체 노광장비(극자외선 EUV) 글로벌 독점 기업

  • Adobe (ADBE) -0.17% : 디지털 콘텐츠 및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기업

  • Total Energies (TTE) -0.12% : 유럽 최대 에너지 기업 중 하나


켄 피셔가 이끄는 피셔 인베스트먼트의 투자 전략 변화는 다음과 같다.

  • 반도체(NVDA, AVGO), 클라우드(AMZN, GOOGL), 전자상거래(AMZN), 디바이스(AAPL) 등 AI 관련 빅테크 기업 비중 확대

  • 구리·금 채굴(FCX), 전통 에너지(TTE), 비만 치료제(NVO) 관련 기업 비중 축소

  • 변동성이 높은 중소형 성장주보다 안정적인 글로벌 대형주에 집중


켄 피셔의 투자를 참고한다면 AI, 반도체, 클라우드 등 빅테크 중심으로 투자하고 원자재와 에너지 업종의 변동성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하워드 막스

Howard Marks




하워드 막스는 오크트리 캐피털 매니지먼트(Oaktree Capital Management)의 공동 설립자이자 공동 회장으로, 하이일드 채권 및 부실 자산 투자 전문가로 잘 알려져 있다.

경기 사이클을 기반으로 한 방어적 투자 선호하며 최근 부실 채권 및 기업 신용 시장에 대한 포트폴리오 조정했고 부동산 및 에너지 관련 투자를 확대했다.


최근 분기 13F에서 오크트리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매수 종목 Top 5는 다음과 같다.

  • Expand Energy (EXE) +3.2% : 에너지 인프라 및 유틸리티 관련 기업

  • Vistra (VST) - PUT +1.61% : 전력 생산 및 유통 기업. 풋옵션

  • Sunrise Communication (SNRE) +1.10% : 통신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업체

  • Talen Energy (TLN) - CALL +0.86% : 전력 및 에너지 인프라 운영 기업. 콜옵션

  • Quanta Services (PWR) - PUT +0.67% : 전력 및 통신 인프라 건설·운영 기업. 풋옵션


최근 분기 13F에서 오크트리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매도 종목 Top 5는 다음과 같다.

  • Itau Unibanco (ITUB) -0.97% : 브라질 최대 민간 은행

  • Freeport-McMoRan (FCX) -0.75% : 구리 및 금 채굴 기업

  • Star Bulk Carriers (SBLK) -0.74% : 해운 및 벌크 화물 운송 기업

  • Banco Bradesco S.A. (BBD) -0.60% : 브라질의 주요 상업은행

  • Talen Energy (TLN) -0.57% : 에너지 및 전력 기업


하워드 막스가 이끄는 오크트리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투자 전략 변화는 다음과 같다.

  • 경기 둔화에도 안정적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에너지 및 유틸리티(EXE) 관련 종목 비중을 확대하면서도 일부 종목(TLN)은 차익실현

  • CALL 옵션(TLN)과 PUT 옵션(VST, PWR) 매수를 병행하여 헷지 전략 활용

  • 글로벌 경기 둔화 및 신흥 시장 변동성 리스크를 대비하여 브라질 금융주(ITUB, BBD) 및 원자재 관련 종목(FCX) 비중 축소


하워드 막스의 투자를 참고한다면 안정적인 배당과 경기 변동성에 강한 에너지 및 유틸리티 기업에 선별적으로 접근하고, 경기 둔화와 금리 변동성에 취약한 신흥국 금융과 원자재 투자에 유의하며 옵션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3부에 걸쳐 투자 거장들의 4분기 13F 문서를 기반으로 포트폴리오 변화를 살펴보았다.

13F 문서에서 확인되는 포트폴리오는 기관투자자들의 투자 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된다.

그러나, 투자 거장들이라고 하더라도 무조건 수익이 나는 것은 아니며 13F 문서에 기록된 정보는 과거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무조건 따라하기 보다는 투자 아이디어를 참고하는 정도로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