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2/14 미국 증시에는 어떤 일이 있었는지 살펴보자.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이번 주 미국 증시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보다 강하게 나타나며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지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가 공식화 되었으나 4월에 시행되어 협상의 가능성이 남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료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결과적으로 미국 3대 지수는 S&P500 +1.47%, 나스닥 +2.58%, 다우 +0.55%로 모두 상승 마감했다.
달러지수와 USD/KRW 환율은 모두 하락하며 달러 약세를 보였다.
미국 10년물과 2년물 국채 금리 모두 소폭 하락했다.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상승했고, 국제 유가인 WTI유는 러-우 전쟁 종료 가능성에 하락했다.
이번 주 증시는 물가지수 발표와 상호 관세에 따른 금리 변동과 실적발표 및 기관투자자의 포트폴리오 변화를 알 수 있는 13F 문서 공개 등 이슈에 따라 차별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한주간 이슈가 있던 기업들은 다음과 같다.
엔비디아(NVDA) 오픈AI가 TSMC를 통해 수개월 내 자체 AI칩을 생산한다고 발표, TSMC와 폭스콘의 1월 매출 급증과 파리 AI 서밋의 대규모 투자 기대감, 트럼프의 반도체 칩 관세 부과 소식, 휴렛팩커드에서 엔비디아 블랙웰 칩을 탑재한 제품을 공개했다는 소식에 상승, 일론 머스크의 xAI에 탑재된 델 서버가 엔비디아의 GB200 칩을 탑재했다는 소식에 상승
브로드컴(AVGO) 오픈AI의 자체 AI칩 개발에 협력한다는 소식
어도비(ADBE) 프리미어 프로 베타 버전에 AI 기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다는 소식
온세미컨덕터(ON)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하회
맥도날드(MCD)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대장균 사태로 매출이 예상치를 하회했으나, 1분기 저점 이후 연중 사업 회복세를 그려낼 것이라는 가이던스 제시
테슬라(TSLA) 최근 일론 머스크 CEO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반감으로 유럽, 중국, 호주, 미국 내 일부 지역에서 차량 판매 감소에 영향, 오픈AI에 인수 제안, 테슬라 핵심 원자재인 철강, 알루미늄 관세 부과로 비용이 상승할 것이라는 우려, 투자은행 벤치마크에서 테슬라가 전기차, 로봇공학, 자율주행차, 에너지 저장 분야를 비롯한 여러 성장 동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매수 의견과 함께 475달러의 목표가를 제시, 미국 정부가 4억달러 규모의 전기 장갑차를 테슬라에 주문할 것이라는 소식, 인도 디총리와의 회담에서 트럼프가 일론 머스크와 동행한다는 소식에 인도 시장에 대한 기대감
US스틸(X), 뉴코(NUE), 알코아(AA) 등 철강 업종은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소식에 긍정적 영향
애플(AAPL) 중국에서 규제 이유로 AI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해왔으나, 중국 IT 기업 알리바바와 손을 잡고 AI 기능을 출시한다는 소식, 애플TV 앱이 스트리밍 가입자 확대를 위해 안드로이드 OS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출시된다는 소식, 팀 쿡 CEO가 소셜미디어 X에서 2/19 신제품인 아이폰 SE4 출시를 암시, 워렌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 13F 문서에서 애플 보유 지분을 유지하여 주식 매도를 중단했다는 소식
인텔(INTC)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파리 AI 서밋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AI가 국내에서 생산된 반도체로 구축되도록 보장 것이라고 발언, 대만의 TSMC가 트럼프 정부의 반도체 관세 압박에 대응 수단으로 인텔에 직접 투자하거나 반도체 패키징 공정을 맡기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소식, 대만 TSMC에서 인텔 제조 공장에 엔지니어를 파견하는 것을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
코카콜라(KO) 4분기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4분기 실적이 예상치에 부합
알리바바(BABA) 딥시크 사태로 중국 AI 열풍의 수혜를 받았으며, 애플 아이폰에 탑재되는 AI 기능을 공동 개발한다는 기대감
보잉(BA) 지난달 상업항공기 45대를 인도하며 2023년 3월 이후 처음으로 월별 인도 실적에서 경쟁사인 유럽 어버스를 제쳤다는 소식
시스코 시스템즈(CSCO) 4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보합권 마감한 뒤, 장 종료 후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가 예상치를 상회하자 시간외 급등
앱러빈(APP) 4분기 실적 발표 기대감에 상승 마감한 뒤, 장 종료 후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가 예상치를 상회
ARM(ARM) 파이낸셜 타임즈가 ARM이 자체 AI 전용칩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르면 올 여름 첫 번째 AI 전용칩이 출시되고 메타가 첫 고객이 될 것이라고 보도, 엔비디아의 13F 문서에서 ARM 투자 비중이 감소했다는 소식
팔로알토(PANW) 4분기 실적 발표 기대감에 상승 마감한 뒤, 장 종료 후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 모두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실망스러운 이익 가이던스 제시
에어비앤비(ABNB) 4분기 시적 발표 기대감에 상승 마감한 뒤, 장 종료 후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가 예상치를 상회
메타(META) 블룸버그 통신에서 메타가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새 부서를 꾸리고 있다고 보도
델(DELL) 일론 머스크의 AI 기업 xAI에 50억 달러 규모의 서버 공급 계약을 체결한다는 소식
사운드하운드(SOUN), 서브 로보틱스(SERV) 엔비디아의 13F 문서에서 보유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는 소식
위라이드(WRD), 네비우스(NBIS) 엔비디아의 13F 문서에서 투자 포트폴리오에 신규 편입되었다는 소식
이번 주에는 국채 금리가 하락한 가운데 기술, 커뮤니케이션, 소비 순환재, 원자재, 경기 방어주, 에너지, 유틸리티 순으로 강세를 보였고, 헬스케어 섹터만 약세를 보였다.
공포 탐욕 지수는 1주일 전 대비 상승했으며 공포(Fear) 단계를 유지했다.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1주일 전 대비 감소하며 변동성이 완화되었다.
이번 주에는 트럼프의 상호 관세 서명과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인플레이션 데이터, 그리고 러-우 전쟁 종료 가능성과 기관투자자의 13F 문서 공개 등 다양한 이슈들이 증시에 영향을 주었다.
먼저 주 트럼프는 주 초반 철강과 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에 서명하여 철강 관련주가 상승했다.
미리 예고했던 상호 관세에도 서명하여 공식화했으나 4/1 시행된다는 소식에 협상의 여지가 남아있다는 점이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상·하원 반기 통화정책보고에서 당분간 제약적 통화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시사했는데,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모두 예상치를 상회하여 파월의 발언에 힘을 더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PPI 세부 내용에서 PCE물가지수에 반영되는 항목들이 둔화되었고, 산불과 한파 영향에 일시적이라도 소매판매가 둔화되면서 국채 금리는 하락했다.
산업적으로는 JD 밴스 부통령이 국산 반도체를 통해 AI를 구축한다고 발언하자 인텔이 부각되었으며, 애플이 알리바바와 협력하여 중국에 판매되는 아이폰에 AI 기능을 탑재한다는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또한 기관투자자들의 13F 문서가 공개되면서 포트폴리오 변화에 따른 개별 종목 변동성도 커졌는데, 특히 엔비디아가 사운드하운드와 서브 로보틱스를 전량 매각하고 위라이드를 신규 매입한 점이 부각되었다.
다음 주에는 월요일에 미국 대통령의 날로 미 증시가 휴장하는 가운데, FOMC 회의록 공개와 중국의 대출우대금리(LPR) 결정이 있으나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오히려 기대 인플레이션의 변화가 다시 주목될 것으로 보인다.
주 초반에는 주식 시장 휴장과 함께 특별히 중요한 지표 발표가 없기 때문에 13F 문서 공개에 따른 개별 종목 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목요일에 공개되는 FOMC 회의록에서는 연준이 당분간 금리를 동결한다는 입장이 재확인될 것으로 예상되며 특별히 새로운 내용은 없이 영향은 제한적일 것 같다.
중국의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결정은 미국과의 관세 전쟁을 앞두고 상황을 좀 더 지켜보기 위해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어 영향은 적을 것 같다.
그나마 경제 지표 중에서는 최근에 급등했던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의 변화가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번 발표된 수치에서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이 크게 상승했는데, 트럼프의 상호 관세 시행이 4월로 예정되어 협상의 가능성이 생긴 상황에서도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게 유지될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만약 기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게 유지된다면 다시 한번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으니 조심하자.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한동안 지수 상승이 제한되었는데, 우려했던 상호 관세 부과는 공식화되었으나 4월에 시행될 것으로 보이면서 다시 지수 상승의 가능성이 나타났다.
이제 주가 지수는 신고가 돌파의 갈림길에 있는데, 확실한 돌파 추세가 나온다면 당분간 증시는 추가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이렇게 상승하더라도 관세 우려를 뒤로 미뤄두고 상승하는 것이고 고점 부근인 만큼 너무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적당히 시장 추세에 올라타고 현금도 보유하며 갑작스러운 하락을 대비하며 투자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