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개정된 세법 시행령의 주요내용
단기임대주택 부활
- 6년 의무임대 기간의 단기민간임대주택 제도가 도입됨
- 건설형은 공시가격 6억원, 면적 149㎡ 이하, 매입형은 수도권 4억원·비수도권 2억원 이하에 적용됨
- 다주택자의 양도세 중과 제외, 종부세 합산 배제 등의 혜택이 주어짐
장기민간임대주택 기준 완화
- 건설형 장기민간임대주택의 가액 요건이 공시가액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상향
- 30호 이상 공급 민간임대주택의 종부세 합산배제 기준도 상향조정
인구감소지역 주택 취득 특례
- 1주택자가 2026년 12월까지 인구감소지역 내 주택(공시가격 4억원 이하) 취득 시 1가구 1주택 특례를 받을 수 있음
기타 변경사항
- 주택에서 상가로 용도변경 후 양도 시 1주택 판정 기준 시점이 변경
- 고가주택 2주택자에 대한 간주임대료 과세대상이 구체화
- 부동산 임대업 법인은 중소·중견기업 혜택에서 제외
-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대상에서 부동산 임대업 등이 제외
이러한 변경사항들은 주로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와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6년 의무 임대 기간 단기민간임대주택제도 도입이유는?
주택 공급 확대 및 임대시장 안정화
1. 비아파트 시장 활성화: 정부는 빌라,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시장의 정상화와 공급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을 공급하고자함
2. 임대주택 공급 증대: 개인 임대사업자들이 임대시장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전체적인 임대주택 공급량을 늘리고자 함
현재 임대물량의 약 92%가 개인 임대사업자에 의해 공급되고 있어, 이들의 참여가 중요
3. 전세난 완화: 임대주택 공급 확대를 통해 현재의 전세가격 상승 및 전세난 문제를 완화하고자 함
세제 혜택 및 규제 완화
1. 임대사업자 유인: 1주택자가 비아파트 주택을 구입해 단기 임대로 등록할 경우 1세대 1주택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게 하여 임대사업 참여를 유도
2. 세제 혜택: 임대의무기간을 준수하면 양도세 면제 등의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임대사업자들의 참여를 독려
임차인 보호 및 주거 안정성 제고
1. 임대료 상승 제한: 등록 임대주택의 경우 임대료 상승률이 제한되어 임차인의 주거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
2. 장기 거주 가능: 6년의 의무임대기간 동안 임차인이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정책의 균형 및 보완
1. 이전 정책의 보완: 2020년에 폐지된 4년 단기임대 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의무기간을 6년으로 연장하고 아파트를 제외하는 등의 조치를 취함
2. 다양한 임대 옵션 제공: 생애주기에 맞춘 다양한 형태의 임대주택을 제공하려는 정책의 일환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정부는 6년 의무임대 기간의 단기민간임대주택 제도를 도입하여 주택 시장의 안정화와 임대주택 공급 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6년 단기민간임대주택 제도 도입으로 인한 부동산 시장 영향은?
임대주택 공급 확대
1. 비아파트 시장 활성화: 빌라,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시장의 공급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임
2. 임대주택 재고 증가: 개인 임대사업자들의 시장 참여가 늘어나 전체적인 임대주택 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3. 중산층 주거 안정: 20년 이상 장기 거주가 가능한 새로운 유형의 임대주택이 도입되어 중산층의 주거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보임
임차인 보호 및 주거 안정성
1. 임대료 상승 제한: 등록 임대주택의 경우 임대료 상승률이 제한되어 임차인의 주거비 부담이 완화될 수 있음
2. 장기 거주 가능: 6년의 의무임대기간 동안 임차인이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
임대사업자 유인 및 세제 혜택
1. 세제 혜택: 임대사업자들은 양도세 면제 등의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시장 참여 유인이 증가할 것으로 보임
2. 1주택자 특례: 1주택자가 비아파트 주택을 구입해 단기 임대로 등록할 경우 1세대 1주택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어 임대사업 참여가 늘어날 수 있음
시장 안정화 효과
1. 전세난 완화: 임대주택 공급 확대로 현재의 전세가격 상승 및 전세난 문제가 일부 완화될 수 있음
2. 주택 시장 안정: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 공급으로 주택 시장의 전반적인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음
잠재적 문제점
1. 투기 우려: 과거 4년 단기임대 제도의 폐지 사례처럼 투기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음
2. 정책 신뢰성: 잦은 정책 변경으로 인해 임대사업자들의 신뢰가 낮아질 수 있어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
3. 아파트 제외: 아파트가 제외되어 있어 임대주택 공급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음
6년 단기민간임대주택 도입은
1주택자의 경우 단기등록임대로 소형 비아파트를 구입해 등록하면 1가구 1주택 특례도 받을 수 있음.
특히 아파텔같은 소형 오피스텔이나
빌라의 경우 정책을 잘 활용하면
세제혜택을 받을 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