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문제 이후 긴급 미팅 개요-
긴급 미팅 배경: 딥시크 문제 발생 후, 트럼프 대통령과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백악관에서 긴급 미팅 진행.
미팅 결과 공개: 로이터통신 등 언론을 통해 미팅 결과 일부 유출.
-트럼프와 엔비디아의 발표 내용-
트럼프의 발언: "앞으로 무슨 일이 있을지 말할 순 없지만, 우리는 좋은 만남을 가졌다."
엔비디아의 성명: 대변인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 반도체, AI 정책에 대해 논의할 기회를 얻게 되어 감사하다.", "트럼프 대통령과 황 CEO는 미국의 기술, AI 리더십 강화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함.
-외교적 암시 및 미묘한 메시지-
발언의 미묘함: 트럼프는 "좋은 만남"을 강조하며 구체적 합의나 후속 조치 언급 없이 마무리.
젠슨 황 역시 "논의했다"는 표현만 사용하여 명확한 합의나 수용 의사 부재.
의미 있는 발언: 트럼프의 "앞으로 무슨 일이 있을지 말할 순 없지만" 발언은 중국 관련 중요한 조치가 진행 중임을 암시할 수 있음.
-주요 테크 기업 및 엔비디아의 행보-
트럼프 취임식 참석 현황: 일론 머스크, 애플의 팀 쿡,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등 주요 테크 기업 CEO들이 취임식에 참석함.
엔비디아의 차별적 행동: 젠슨 황은 취임식에 불참하고,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엔비디아 지사에서 중국 설맞이 행사에 참석함. 해당 행사는 중국 관영통신, *샤오홍수, *웨이보 등 중국 SNS를 통해 대대적으로 공유됨.
*샤오홍수: 중국의 주요 소셜미디어 플랫폼 중 하나를 의미.
*웨이보: 중국의 대표적인 소셜미디어 서비스를 의미.
-엔비디아 성명 및 미국 정부의 반도체 규제 관련 입장-
젠슨 황의 성명: 미국 정부가 중국의 반도체 도전에 대해 규제 강화를 검토 중임을 암시하며 불편한 심기를 표출함.
"세계 대부분에 수출을 제한하는 규정은 AI반도체 남용 위험을 줄이기는커녕, 경제 성장과 미국의 리더십을 위협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비판함.
또한 "시장을 위협하고 혁신의 생명인 경쟁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강조함.
-기부금 비교 및 기업별 대응 차이-
기부금 현황: 엔비디아는 전체 기부금 중 92%를 민주당 후보에게 기부하고, 트럼프에게는 8%만 기부함.
기업 대응 차이: 이러한 기부금 차이와 젠슨 황의 중국 방문, 트럼프 취임식 참석 여부 등에서 기업별 정치적 및 전략적 입장 차이가 드러남.
엔비디아는 시범케이스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앞으로 트럼프의 대응이 주목되는 상황임.
※메르님의 블로그에서 인사이트를 얻어 이해하기 쉽게 다시 정리 요약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