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7월부터 시행되는 부동산 대출 규제
디딤돌 대출 제한
- 수도권 아파트 청약 당첨자들의 디딤돌 대출을 통한 잔금 대출이 전면 금지됨
- 디딤돌 대출은 중산층과 서민층을 위한 저금리 정책 상품
- 이로 인해 더 높은 금리의 일반 대출 상품을 이용해야 할 수 있음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 은행권과 2금융권의 모든 대출에 적용됨
- 대출 가능 금액이 감소.
예를 들어, 연소득 1억원 차주의 경우 주담대 한도가 6억6000만원에서 5억6000만원으로 줄어듦
우려사항
1. 부동산 시장 양극화: 중산층과 서민층이 선호하는 주택 가격은 하락하고, 고가 주택 가격은 상승할 수 있음
2. 전월세 시장 자극: 매매 수요가 전월세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음
3. 자산 격차 확대: 중산층과 서민층의 하향 평준화로 양극화가 심화될 수 있음
전문가들은 이러한 강화된 대출 규제로 인한 시장 왜곡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시 대출 가능액
스트레스 DSR 3단계가 시행되면 대출 가능금액이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대출 한도 감소 규모
- 연소득 1억원 기준으로 스트레스 DSR 시행 전과 비교해 약 1억 2000만 원의 대출 한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 연소득 1억원인 차주가 30년 만기 변동형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경우:
- 스트레스 DSR 도입 전: 6억 6000만 원
-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후: 5억 6000만 원
즉, 1억 원의 대출 한도 감소가 예상.
- 전반적으로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시 대출 한도가 스트레스 DSR 도입 이전보다 약 17% 줄어들 것으로 예측
소득별 영향
- 연소득 6000만 원인 경우:
- 스트레스 DSR 시행 전: 4억 1900만 원
-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후: 3억 5200만 원
약 6700만 원의 대출 한도 감소가 예상됨
주의사항
- 금융당국은 스트레스 DSR로 인해 실제 대출한도가 제약되는 고DSR 차주 비중이 7~8% 내외일 것으로 예상하며, 90% 이상의 차주는 기존과 동일한 한도와 금리가 적용될 것으로 전망
- 스트레스 DSR 3단계의 시행 시기는 2025년 7월 이후로 예정되어 있으며, 제도의 안착 추이 등을 지켜본 후 확정될 예정
이러한 변화는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조치이지만, 대출을 계획하고 있는 소비자들에게는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시 대출 가능금액
감소 비율
대출 가능금액 감소 비율
- 스트레스 DSR 시행 전과 비교하여 약 15-20% 정도 대출 한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
구체적인 예시
- 연소득 1억원 기준으로 살펴보면:
- 스트레스 DSR 시행 전: 6억 5800만원
-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후: 5억 5600만원 ~ 5억 9400만원
- 감소액: 약 1억원 ~ 1억 2000만원
- 이는 약 18% 정도의 감소율에 해당
주의사항
- 대출 한도 감소 폭은 개인의 소득, 대출 유형, 지역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변동금리 대출의 경우 감소 폭이 더 클 수 있으며, 고정금리나 혼합형 대출은 상대적으로 감소 폭이 작을 수 있음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으로 인한 대출 가능금액 감소는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조치이지만, 실수요자들의 주택 구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