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슨말이냐구요?
말 그대로입니다.
투자는 무조건 1등 기업에 해야합니다.
주식이든, 코인이든, 부동산이든...
아니 부동산은 그게 불가능하죠...
모두들 1등 부동산은 '압구정 현대아파트'인걸 알고 있으나,
이게 투자를 하고 싶다고 할 수 없으니깐요
지분을 쪼개서 살수도 없는 노릇이고,
대출을 20억 넘게 받을 수도 없구요....
허나 금융자산은 다릅니다.
미국증시부터 확인하시죠.
----------------------------------------------------------------------------------------------------------------------------------------
증권업계에 따르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등 미국 시가총액 상위 4개 종목은 올 들어 평균 39%대 급등했다. 미국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는 172%, 테슬라는 78.7% 뛰었다.
올해 10% 오르는 데 그친 S&P500지수의 최소 4배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2·3등 기업은 신저가를 경신하고 있다. 인텔은 고성능 반도체 경쟁에서 밀릴 것이란 우려가 커지면서 주가가 바닥을 기고 있다. 한때 테슬라 대항마로 꼽혔던 리비안, 루시드 등 전기차 업체들은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다.
------------------------------------------------------------------------------------------------------
2.
제가 누누히 말씀드리지만,
어느 분야든 1등 기업에 투자해야합니다.
2,3등은 안되요~
제2의 테슬라? 제2의 엔비디아?
이것도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그럼 한국시장은 어떨까요?
-------------------------------------------------------------------------------------------------------------------
한국에서는 반도체와 전기차가 투자금을 블랙홀처럼 흡수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들어 26.7% 상승했다. SK하이닉스는 44.3% 올랐다. 코스피지수 상승률(15%)의 2~3배에 달한다. LG에너지솔루션(29%), 현대차(31%) 등도 시장을 웃도는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투자금이 ‘소수정예 종목’에 집중되면서 시장 전체적으로는 하락하는 종목이 속출하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940개 종목 가운데 677개 종목이 코스피지수 상승률(15%)을 밑돌고 있다. 전체 종목의 40%에 달하는 368개 종목은 올 들어 주가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
한국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현대차가
독보적인 상승세를 보였군요.
전 삼전과 현차만 소량 보유중입니다!
3.
1등 기업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수익률 말고도 또 하나 있습니다.
바로 정신건강!!
누구나 인정하는 1등기업에 투자하면
밤에 두다리 쭉 뻗고 잘 수 있는거죠~
정신건강이 좋아지면 오래 살고
오래 살면 투자수익률을 복리로 누릴 수 있고
더 부자되고....
선순환구조가 형성됩니다.
1등기업이 어딘지 모르겠다구요?
그럼 그냥 S&P500 ETF인 VOO에 투자하거나
그마저도 싫다면 워런버핏을 따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