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마운하 2025.01.22.
-배경과 필요성-
미국은 해군 전력이 대서양과 태평양으로 나뉘어 있어, 양쪽을 연결하는 운하 필요성이 컸음.
1898년 미·스페인 전쟁 당시, 오르건호가 태평양에서 대서양으로 이동하는 데 67일이 걸림.
스페인도 남미 식민지 관리에 비효율적인 바다 우회를 해결하려고 운하를 고려했음.
-프랑스의 도전과 실패-
프랑스는 *수에즈운하 성공 경험으로 1880년 *파나마운하 건설을 시작했지만 실패.
지형 문제: 산맥과 울창한 정글.
질병 문제: 말라리아와 황열병이 창궐해 2만 명 이상 사망.
결국 프랑스는 사업을 포기하고 미국에 사업권을 넘김.
*수에즈운하: 이집트 북동부에 위치, 지중해와 홍해를 연결하는 인공 운하.
*파나마운하: 중미 파나마에 위치하며,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
-미국의 운하 건설-
미국은 파나마운하 주변 지역을 확보하기 위해 콜롬비아와 협상했으나 거절당하자, 파나마 독립을 지원.
독립 후, 파나마는 운하 주변 16km를 미국에 영구 임대.
미국의 공사 시작
질병 방역: 모기를 줄이기 위해 웅덩이 제거, 물 관리 철저.
운하 설계 변경: 산을 평지로 만들지 않고, 가툰호수를 중심으로 갑문 시스템 도입.
1914년 파나마운하 완공.
-운하 운영과 반환-
미국은 운하와 주변 지역을 소유·운영했지만, 파나마는 계속 반환 요구.
1999년 12월 31일, 파나마운하는 결국 파나마에 반환됨.
-중국의 영향-
파나마운하 자체는 파나마가 관리하지만, 양 끝 항구 운영권은 중국계 기업이 확보.
중국은 파나마에 물류망을 강화하며 영향력 확대.
2017년, 파나마는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
-운하의 현재와 한계-
파나마운하 확장공사로 폭 55m까지 넓혀 LNG 운반선 통과가 가능해졌지만, 초대형 선박은 여전히 통과 불가.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이 심각.
운하를 통과하는 배 한 척당 2억 리터의 물이 소모.
가뭄으로 인해 가툰호수의 물이 줄어들어 운하 통행량 감소.
니카라과는 중국 자본으로 운하 건설을 시도했으나, 원주민과 환경 문제 등으로 중단.
-미국의 입장-
미국은 파나마운하와 니카라과운하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고 경고.
※메르님의 블로그에서 인사이트를 얻어 이해하기 쉽게 다시 정리 요약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