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남북전쟁과 역사적 배경-

남북전쟁 이유: 북부와 남부의 권력 다툼, 노예제도 해방 문제.

노예는 남부 재산의 20%를 차지할 만큼 경제적 가치를 지님.

노예 해방 시 남부는 경제적 손실과 정치적 패배를 우려함.

전쟁 상황: 북부는 공업 발달과 인구가 많아 유리했지만, 전투 경험 부족으로 초기 패배.

스코틀랜드계 이주민 합류: 애팔래치아산맥에 살던 전투 능숙한 스코틀랜드계 사람들이 북부군에 합류하며 전쟁에 승리.

전쟁 후 문제: 해방된 노예들이 북부 일자리 경쟁자로 등장.

스코틀랜드계 빈민층의 분노가 흑인을 대상으로 한 *KKK단 폭력으로 이어짐.

*KKK단: 1865년에 미국에서 결성된 백인 우월주의 단체

-러스트벨트와 경제 쇠퇴-

러스트벨트: 미국 중부 공업지역, 제조업이 쇠퇴하며 가난해진 지역(대표 산업은 자동차, 철강)

문제 발생: 중국 철강 제품과 외국 자동차의 저렴한 가격이 미국 제조업을 위협.

책 ‘*힐빌리의 노래’: 저소득 백인층의 삶을 조명.

복지를 남용하는 모습에 대한 분노.

제조업 쇠퇴로 인한 실업 문제를 제기.

*힐빌리: 주로 러스트벨트 지역에 사는 가난한 백인층.

-힐빌리(가난한 백인층)의 트럼프 지지-

트럼프 지지 이유: 단순한 메시지가 매력적.

"중국이 문제니 중국을 때려잡자!", "멕시코 불법 이민자가 문제니 국경에 장벽을 세우자!"

제조업 부활 약속: 미국 내 일자리 창출을 강조.

-트럼프 1기 정책-

1기 주요 정책: 법인세 인하: 35% → 20%로 낮춰 기업 투자 활성화.

NAFTA 재협상: 미국-멕시코 무역협정 개정.

자동차 부품의 최소 45%를 시간당 16달러 이상의 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제조하도록 규정(미국인을 고용하라는 말).

목표는 미국 노동자 고용 확대.

외국산 자동차 관세 추진: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 부과 계획(완전히 실행 못 함)

결과: *리쇼어링(미국으로 일자리 귀환) 가속화.

2010년 6천 개 → 2022년 34만 개 일자리 복귀.

높아진 인건비로 인한 가격 경쟁력 약화.

*리쇼어링: 해외로 나갔던 일자리를 본국으로 되돌리는 현상.

-트럼프 2기 예상-

정책 재추진 가능성: 법인세 추가 인하.

외국산 자동차 관세 25% 다시 추진.

미국 제조업 강화 및 비용 절감 방안 마련.

-현대자동차 등 한국 기업의 대응-

미국 시장 적응 노력: 미국 내 공장 설립(삼성,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

미국 내 철강 사용 및 제조 역량 강화.

-핵심 요약-

트럼프는 미국 제조업을 살리기 위해 법인세 인하, NAFTA 재협상, 관세 부과 같은 정책을 시행.

가난한 백인층(힐빌리)의 열광적 지지를 받으며 성공적인 일자리 귀환을 이뤘고, 현재도 이 방향을 이어가려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