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심플하게 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한국에서도 많은 투자자분들이
S&P500 과 나스닥100 등
시장지수 인덱스펀드에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인덱스 투자는 지루하고 실속없는
투자라고들 많이 생각하는 모양입니다.
미국 대표 지수인 S&P500은 오랜 기간 시장 수익률을 측정하거나 상품 수익률을 평가하는 척도로 활용됐다.
최근엔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왜 그럴까. S&P500 지수 같은 시장 대표 지수를 따라가는 패시브 투자가 펀드매니저의 주관이 반영된 액티브 투자보다 좋은 성과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장기 투자의 관점에서 보자.
최근 10년을 기준으로 미국 대형주 액티브 펀드의 87%가 S&P500 지수에 투자한 것보다 수익률이 좋지 않았다.
투자 기간을 20년으로 늘려 보면 액티브 펀드의 93%가 S&P500 지수 투자 수익률을 이기지 못했다.
단기적으로는 액티브 투자와 패시브 투자의 수익률이 엇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투자 기간을 길게 잡을수록 패시브 투자의 장점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
1.
10년동안 액티브 펀드의 87%가
인덱스펀드에 무릎을 꿇고
20년동안 액티브 펀드의 93%가
인덱스펀드에 패배했습니다.
결국 10개 중 9개는 S&P500 인덱스펀드를
이기지 못한다는 결론입니다.
투자의 대가 워런버핏이
입버릇처럼 하는말이 그런 이유에서 입니다.
2.
학창시절 수학공부가 어려울때
'수학의 정석'으로 기초를 다졌듯이
투자의 정석인 S&P500에 먼저 투자를 시작하세요.
그리고 투자에 익숙해지고 적응이 되어서
하이리스크를 감내할 수 있겠다고 생각이 들면
Nasdaq100지수에 투자하고
여윳돈이 더 많아지면
2배, 3배 레버리지도 소액으로 진행해보세요.
그럼 점점 안정적으로 불어나는 투자금액을 보면서
신기함과 동시에 뿌듯함을 느끼게 되실겁니다.
결론.
S&P500 ETF 인
VOO를 열심히 모읍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