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 시장은 부침은 있어도 결국 우상향"

"개별 주식 사지말고, 시장 지수 ETF 만 사도 상위 10%"

다 맞는 말입니다.



지수추종 주변에 하라고 권유 많이하는데

지수추종할거 한두개 정해서 사라고 해줘도

그와중에 etf로 포트폴리오 짜겠답시고 이거저거 건드리고 담는사람

-> 이런사람이 오래못가더라

똑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voo spy itot 등등 여러개 담고

s&p etf를 사놓고 다를바가없는 다우지수 etf를 또 담고

배당 etf 넣고싶다고 schd 담고

월배당도 있으면 매달 받는 기분좋겠다고 dia담고

voo 하나만사도 이미 충분히 분산투자 한거라고 말해줘도

못알아먹고 저런행동을 포기를 못함


----------------------------------------------------------------------------------------------------


2.

이것도 일종의 선택 장애인셈인데,

S&P500 ETF의 대표격인 VOO 하나만 사더라도

상위 500개 기업에 분산투자하는격인데,

굳이 저기서

배당받고 싶다고 배당 ETF 사고,

기술주 잘나가니 기술주 ETF 사고,

에너지 올라가니 에너지 ETF 담고,


월가에서 일부 투자 대가들은

상당히 여러개를 담아서 분산투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건 운용하는 투자의 규모 자체가 다름

평범한 직장인일수록

분산투자보다는 집중투자를 해야

투자수익률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




3.

주구장창 제가 말씀드렷듯이

S&P500 ETF에 투자하는것이

안정성과 수익성을 밸런스 있게 가져가는거라고

수십번 말씀드렸고,

본인이 아직 20~30대고 risk taker라면

나스닥 100 ETF에 투자해도 좋다고 했는데,

별안간 느닷없이

댓글로 "그래서 전 TQQQ 몰빵했습니다"

라고 말하는 분도 있음.


4.

실제 한국의 서학개미들은

시장 수익률에 만족못하고

레버리지 상품에 올인 하고 있는중




5.

레버리지 투자는 양날의 검입니다.

증시가 상승할때는 달콤하지만

증시가 하락할때는 지옥과 다름없습니다.

늘 소액 분산투자하는 습관을 기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