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말일까요?
부자가 되는것은
연봉의 크기와 정말 관계가 없을까요?
연봉이 5천만원인 사람의
월 실수령액은 350만원,
연봉 1억 원인 사람의
월 실수령액은 650만원,
이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 금액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인생은 달라집니다.
월급은 평생 400번 정도 받습니다.
(13월의 월급 포함해서요.)
연봉이 5천만원에서 시작해
퇴직 시점에 1억 원까지 오른다고 하면
평생 받는 돈은 대략 20억 원 내외입니다.
이 중 50%인 10억 원은 소비하고
나머지 50%인 10억 원은 투자에 사용한다고 하면,
누구나 '부자'라고 부를 수 있는 규모의 순자산을
만들 수 있습니다.
2.
부자들이 어떤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지도
궁금하겠지만 그보다는 어떻게 그런
자산을 만들었지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부자들의 순자산 중 부동산 비중 55%
금융자산이 39% 입니다.
금융자산은 현금, 주식, 보험 등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충격적인것은 한국 금융자산의 60%가
상위 1% 부자가 보유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의 부자는
무려 46만명이고,
심지어 300억 원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사람도 1만 명이 넘습니다!
부자가 될수록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비율이
5:5로 비슷해지는 경향이 있고,
앞으로는 금융자산의 비율이 더 커질것이라고 봅니다.
3.
제 목표는 금융자산 200만 불,
그 중 주식으로만 20억 원을 모으는것입니다.
여러분들도 금융자산이 최소 10억 원을
모았으면 좋겠습니다.
누구나 가능하지만
아무나 하지는 못합니다.
오랜 시간이 필요합니다.
내가 사무직인지, 엔지니어인지
소상공인인지 막노동을 하는지
배달을 하는지 등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랫동안 할 수 있는 일이면 됩니다.
연봉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매월 저축률이 더 중요합니다.
내 월급의 50%를 장기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면
부자 보고서에 나온 부자들처럼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의 순자산을 만들 수 있습니다.
4.
내가 투자하는 자산이 앞으로
10배, 20배 커질 수 있을까? 를
항상 고민해보세요.
그럴 가능성이 큰 자산을 골라
집중투자하면 금융자산 10억 원의
목표달성시기는 훨씬 빨라집니다.
앞으로 어떤 섹터가 빠르게 성장할까요?
엔비디아가 전 세계에
고성능 AI칩을 뿌리면서 돈을 벌어왔다면
올해부터는 AI칩을 구매한 기업들이
실제 서비스를 통해 돈을 버는 시기입니다.
5.
그 기업은 알파벳(구글)일수도 있고,
메타(페이스북)일수도 있고,
테슬라일수도 있습니다.
미래에는 모든 자동차가 자율주행차가 될겁니다.
지금 전 세계에는 무려 15억 대의 자동차가 있습니다.
이렇게 엄청나게 큰 기회에만 투자하고 기다리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