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시장에서 '상킷'과 '하킷'은 각각 '상한가 킵'과 '하한가 킵'의 줄임말로, 주가가 상한가나 하한가에 도달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상킷 (상한가 킵):

  • 주가가 하루 상승 한도인 상한가에 도달한 후, 그 가격을 계속 유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 이는 강력한 매수세로 인해 매도 물량이 모두 소화되고, 추가 매수 주문만 남아있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 이러한 상황은 해당 종목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매우 높음을 의미하며, 종종 시장에서 '테마주' 또는 '대형 호재'가 있는 경우 발생합니다.


하킷 (하한가 킵):

  • 주가가 하루 하락 한도인 하한가에 도달한 후, 그 가격을 계속 유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 이는 강력한 매도세로 인해 매수 주문이 거의 없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 주로 기업의 부정적인 뉴스나 재무 상태 악화로 인해 발생하며, 투자자들의 부정적 평가로 인해 주식을 대량 매도하려는 상황에서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