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코인 첫 인공위성 CTC-0 발사 성공
2024년 12월 21일, 스페이스코인이 첫 저궤도 위성(LEO)인 CTC-0의 발사에 성공했다. 이번 발사는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엑스(SpaceX)의 팔콘 9(Falcon 9) 로켓을 통해 이루어졌다.
스페이스코인 프로젝트 개요
스페이스코인은 DePIN(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ucture Network) 프로젝트로, 세계 최초 탈중앙화 위성 인터넷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저궤도 위성과 5G 비지상파 네트워크(5G NTN) 기술을 결합하여 고속 인터넷을 직접 모바일 기기에 제공한다.
목표: 고가의 지상 인프라 없이, 전 세계 인터넷 소외 지역에 월 1~2달러 수준의 저렴한 비용으로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
기술적 특징:
블록체인 기반 분산 네트워크로 관리.
인터넷 소유와 통제권을 사용자에게 제공.
CTC-0 위성의 역할과 기능
CTC-0는 스페이스코인의 첫 저궤도 위성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5G 인터넷 네트워크 구축에 사용된다.
주요 역할:
데이터 전송 및 송신기 응답 처리.
크레딧코인(Creditcoin·CTC) 네트워크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
인터넷 사용료는 크레딧코인을 통해 지불 가능하며, 신용 프로필 생성으로 신용대출도 가능.
향후 계획
1. 테스트 및 상업 서비스 시작:
첫 위성 CTC-0 발사 성공 후 추가 위성을 통해 테스트를 거칠 예정.
2. 2025년 추가 위성 발사:
인도,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등 신흥국가의 인터넷 소외 지역(약 8억 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연결성 확대.
3. 정부 및 기업 협력:
현지 정부와 기업 협력을 통해 서비스 확장.
크레딧코인과의 협업
스페이스코인은 크레딧코인(Creditcoin·CTC) 개발사 글루와(Gluwa)와 협력 중이다. 특히, 나이지리아에서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사업 참여와 맞물려 두 프로젝트 간의 시너지가 기대된다.
크레딧코인 사용 수수료는 스페이스코인 네트워크 활동과 직접 연결.
에어드랍을 통해 초기 참여 독려.
커뮤니티 중심 생태계 구축
참여 독려: 크레딧코인 보유자를 대상으로 한 에어드랍 이벤트.
온체인 거버넌스 도입: 사용자 의견 반영 및 커뮤니티 중심의 탈중앙화 생태계 조성.
CEO의 비전
스튜어트 가드너(CEO)는 “CTC-0 발사 성공은 탈중앙화된 자유로운 인터넷 구축이라는 비전 실현의 첫걸음”이라며, “모든 사용자가 소유하고 통제할 수 있는 신뢰 가능한 인터넷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결론
스페이스코인의 첫 위성 발사 성공은 인터넷 서비스의 패러다임을 바꿀 혁신적인 시도다. 이를 통해 전 세계 소외된 지역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지며, 블록체인과 결합된 새로운 방식의 인터넷 생태계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