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반도체주 상승 랠리…나스닥 1.24%↑ 마감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를 돌파한 반면, 다우지수는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16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0.58p(0.25%) 내린 43,717.48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2.99p(0.38%) 오른 6,074.08, 나스닥종합지수는 247.17p(1.24%) 뛴 20,173.89에 장을 마쳤다.

반도체 관련주가 이틀 연속 불을 뿜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지난 13일 3% 넘게 뛴 데 이어 이날도 2% 넘게 급등하며 지난달 부진을 빠르게 만회하는 흐름이다.

브로드컴은 4분기 매출이 급증했다고 발표한 데 이어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의 총아 엔비디아를 위협하는 기업으로 부상하면서 매수세가 강하게 집중됐다.
애플도 브로드컴과 자체 AI 칩 개발에 나섰다는 보도가 나왔으며 오픈AI가 브로드컴과 자체 AI 칩을 개발할 예정이라는 보도도 지난 10월 나왔었다.

이는 주요 빅테크가 브로드컴과 함께 자체 AI 칩 개발에 나서면서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도를 빠르게 줄이고 있다는 의미다.
이같은 분위기를 반영해 엔비디아는 이날 2% 가까이 하락했다. 반도체 설계기업인 Arm도 주가가 4% 넘게 떨어지며 '브로드컴 유탄'을 맞았다.

빅테크 주식도 상승했다. 테슬라는 이날도 6% 넘게 뛰었고 알파벳은 3% 이상 상승했다. 아마존도 2% 이상 올랐다.

한동안 강세를 누렸던 다우지수의 우량주들은 조정을 이어갔다. 유나이티드헬스케어는 이날도 4% 넘게 하락하며 위축된 투자심리를 반영했다. 미국 보건당국이 보험사의 보험료 지급 회피 사안을 들여다볼 것이라는 우려가 반영됐다. 존슨앤드존슨 등 필수소비재 기업도 약세를 보였다.

===================
테슬라가 6% 넘게 오르며 신고가를 또 갱신했죠. 올해들어 연중 상승률이 86%라고 하네요.

이와 함께 빅테크 전반적으로 분위기가 좋은 것 같고,
어제의 주인공은 브로드컴이었습니다. 
13일에 24% 폭등했는데 어제 또 11.2%가 올랐으니까요.

​미국주식은 파티 분위기!!!

​다우지수는 하락세를 보이지만 약보합정도였으니 악재는 아닌 듯 합니다.
반도체주와 빅테크가 미친듯이 뛰고 있는 거니까요~

​테슬라, 브로드컴 주주분들 요즘 기분 너무 좋을 것 같네요ㅎㅎ



서울시 도봉구 쌍문동·창동 노후 공동주택 정비로 총 2129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16일 열린 제13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등 수권분과위원회에서 ‘쌍문한양1차아파트·창동상아1차아파트 재건축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쌍문한양1차아파트는 도봉구 쌍문동 388-33번지 일대 공동주택 8개동 824가구 규모로 쌍문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구역과 인접하여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구성됐고, 창동상아1차아파트는 도봉구 창동 299번지 일대 공동주택 6개동 694가구 규모로 쌍문생활권중심 지구단위계획구역과 인접해 준주거지역 및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구성돼 있다. 두 아파트는 각각 1986년과 1987년에 준공된 노후 아파트다.

이번 정비계획 결정을 통해 쌍문한양1차아파트에는 건폐율 50% 이하, 용적률 300% 이하 최고 40층 규모로 공동주택 1159가구(공공주택 74가구 포함) 및 부대복리시설이 신축될 예정이다. 창동상아1차아파트는 건폐율 50% 이하, 용적률 369% 이하 최고 45층 규모로 공동주택 971가구(기부채납 17가구, 공공주택 118가구 포함)으로 재탄생된다.

===================
서울이지만 소외 받던 도봉구에 재건축이 시작될 모양입니다.

물론 뉴타운처럼 일대가 다 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모두 쌍문역과 창동역 역세권이라 좋은 위치에 신축이 들어서 기대하는 사람들도 있을 듯 합니다.

​주변 정비가 좀 돼야 할텐데 그 점은 아쉽구요.

도봉구에서 실거주가 필요한 분들에게 더욱 좋은 소식이 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