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니 당첨이 안되지”…강남3구 몰린 청약통장, 지방 전체보다 많았다
올해 부동산 청약시장이 극심한 양극화 현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는 일반청약 기준 역대 최고인 40만건에 육박하는 청약 건수가 몰리며 평균 청약 경쟁률 기록을 경신했다.
반면 지방 청약시장 경쟁률은 11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지방을 중심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청약시장 양극화 현상이 내년에는 더욱 심화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11일 부동산R114 통계에 따르면 올해(지난 5일 기준) 강남 3구에는 일반공급으로 총 1409가구가 분양됐다. 이에 대한 1순위 청약 건수는 총 39만4137건으로 평균 청약 경쟁률 279.73대1을 기록했다. 청약 경쟁률과 1순위 청약자 수 모두 부동산R114가 집계를 시작한 2000년 이후 최고치다.
반면 서울을 제외한 지방의 청약 경쟁률은 6.29대1로 2013년(2.11대1)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 6만295가구가 공급된 지방 일반분양에 참가한 1순위 청약 건수는 37만9168건으로 이 역시 2013년 이후 최저치다. 이러한 극명한 대비는 청약시장의 심각한 양극화 현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
부동산 양극화가 하루이틀 얘기는 아니지만 청약 시장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네요.
방배 아크로리츠카운티, 래미안 원펜타스, 디에이치 방배 등 굵직굵직한 분양이 엄청난 경쟁률을 보였었죠.
그러나 지방은 11년만에 경쟁률이 최저 수준이라 하고,
사실 서울 내에서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방배 아크로리츠카운티의 경우 1순위 경쟁률이 482.8대 1이었는데, 서울 강북구에 있는 창경궁 롯데캐슬은 26.7대 1, 강서구 등촌동 힐스테이트 등촌은 35.6대 1이었죠.
관심을 뜨겁게 받던 서울원 아이파크도 15대 1었구요.
이제 서울이라고 무조건 아무 지역이나 단지를 골라도 되는 시대는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에 결정적인 역할을 맡은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2.7% 상승해 예상치에 부합했다.
이에 이달 말 다가오는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미국 노동부는 11일(현지시간) 지난달 CPI가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7% 올랐다고 발표했다. 10월의 증가치였던 2.6%에서 소폭 상승한 수치다.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이었던 임대료는 2021년 7월 이후로 가장 느린 속도로 증가해 인플레이션 전망에 좋은 징조라고 분석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이날 CPI 발표 이후 연준이 기준금리 25bp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고 예측한 확률은 86%에서 96%로 치솟았다.
최근 몇 달 간 물가지수는 연준의 목표치였던 2%를 웃돌고 있지만, 금리 인하에는 고용 데이터가 더욱 큰 변수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 주말 발표된 고용보고서에서 11월 실업률은 4.2%를 기록하며 4.1%를 유지했던 직전 두 달 보다 상승했다.
===================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됐습니다!
예상했던 대로 결과가 나와서 악재로 작용하진 않았습니다.
더욱이 금리 인하 가능성도 높아졌구요.
또 소비자물가지수 CPI와 FOMC를 앞두고 하락했던 증시가 회복하면서 나스닥은 사상 최초로 2만선을 넘었습니다.
테슬라는 3년만에 신고가 찍었네요!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등 다 올라 빅테크 랠리를 선보였습니다.
금리는 이 달엔 인하하겠지만 미 경제는 아직 견고하기 때문에 1월은 동결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는 듯 합니다.
이런 흐름이라면 산타랠리 기대해볼만 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