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하다 보면 낯설게 느껴지는 용어들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오퍼링, 하킷, 상킷의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실제로 미국 주식에 투자하면서 이 용어들을 반드시 마주치게 되는 순간들이 생깁니다. 특히 하킷과 상킷은 서킷브레이크에서 나온 말이며 커뮤니와 같은 곳에서 많이 나오는 표현입니다.
이 말을 처음 접하는 순간은 아마 매수, 매도가 갑자기 안돼서 황급히 검색을 해보는 순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목차📌
1. 오퍼링 뜻
2. 서킷브레이크 뜻
3. 하킷, 상킷 뜻
4. 오퍼링, 하킷, 상킷 대처 방법은...
오퍼링이란?
오퍼링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주식이나 채권 같은 증권을 발행하고 투자자들에게 판매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미국 주식을 하다 보면 오퍼링은 기업의 중요한 이벤트로 자주 접하게 됩니다. 기업이 자본을 확보하고 성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수적인 전략이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에 따른 시장의 반응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국 주식 투자에서 오퍼링을 경험하게 되는 방식은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추가 공모나 사모 오퍼링이 발표되면, 시장에 새로운 주식이 풀리면서 단기적으로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현재 포트폴리오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오퍼링은 단기적으로 주가 하락으로 일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단타를 주로 하시는 분들에겐 자연재해와도 같은 일입니다.
서킷브레이크이란?
서킷브레이크는 주식 시장에서 과도한 가격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기준이 충족되면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는 시장의 극심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투자자들에게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할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장치입니다. 주로 대규모 매도세나 매수세로 인해 시장이 급격히 움직이는 상황에서 발동됩니다.
서킷브레이크의 작동 방식
서킷브레이크는 특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단계별로 발동됩니다. 기준은 주로 주요 주가지수(예: S&P 500)의 하락폭에 따라 정해집니다.
미국 주식시장(예: 뉴욕증권거래소)의 서킷브레이크 단계
1단계: 7% 하락
S&P 500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7% 이상 하락하면, 주식 거래가 15분간 중단됩니다.
거래 재개 후 추가 변동성에 따라 다음 단계가 발동될 수 있습니다.
2단계: 13% 하락
S&P 500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13% 하락하면, 또다시 15분간 거래가 중단됩니다.
이 단계에서도 시장이 안정되지 않으면 최종 단계로 넘어갑니다.
3단계: 20% 하락
S&P 500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해당 거래일은 조기 종료되며 더 이상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발동 조건
거래 중단은 주식시장 전체에 적용되며, 개별 주식의 가격 움직임이 아닌 전체 시장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합니다.
발동은 정규 거래 시간 동안만 이루어지며, 장외 거래 시간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보통 미국주식을 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서킷브레이크는 개별 주식 서킷브레이크인데요. 모든 주식 거래에 해당 하는 것이 아닌, 개별적인 주식에만 제한적으로 거래가 일시 중단되는 제도입니다.
하킷, 상킷이란?
미국 주식을 하면서 커뮤니티를 보면 하킷, 상킷이라는 말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이 용어는 서킷브레이크에서 나온 말로 개별 주식이
급격한 급등을 할 경우 상승 + 서킷브레이크 = 상킷
급격한 급락을 할 경우 하락 + 서킷브레이크 = 하킷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즉, 상킷이 발동되면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매수를 원하는 투자자들이 몰리게 되어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하킷이 발동되면 더 강한 하락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보유 주식을 급히 매도하려는 투자자들이 늘어나 패닉셀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로 인해 주가는 더욱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하킷 상황에서는 투자자의 멘탈이 크게 흔들릴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퍼링, 하킷, 상킷 대처 방법은?..
죄송합니다. 대처 방법이 없습니다. 장투를 하는 사람들은 오퍼링이니 서킷브레이크니 하킷, 상킷 어쩌고저쩌고 알 필요가 사실 없습니다. 수년의 기다림 속 작은 이벤트 정도니까요. 다만, 단투 스캘핑을 하시려는 분들은 아주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황들입니다. 하지만 예측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사실상 자연재해에 가깝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와 같은 상황을 맞이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인드와 전략입니다.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사전에 세운 투자 계획에 따라 행동하려고 노력하며 급등이나 급락 상황은 항상 일어날 수 있는 일이므로, 이를 대비한 사전 전략(목표가 설정, 손절매 기준, 분할 매수 계획 등)을 세워두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