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앞으로 매일 주요한 경제뉴스 2건씩 올려드릴 reach rich입니다:)




10만 달러 찍은 비트코인 '금' 대체할까…"내년 20만 달러 가능"


5일(현지시각) 10만 달러 아래로 내려갔지만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향후 10년 내 가상자산 비트코인이 금을 대체할 수 있다고 미국 투자은행 번스타인이 분석했다.


6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번스타인의 가우탐 추가니 애널리스트는

“비트코인은 최고의 가치 저장 수단 자산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아울러 2025년 말까지 비트코인이 20만 달러에 이를 것이며 기관과 기업 재무 자산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전했다.


길 루리아 미국 금융평가기관 DA 데이비슨 애널리스트도 “비트코인의 주요 용도는 가치 저장 수단”이라며

“경제 안정성 하락에 대한 헤지(분산·회피)수단”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도 지난 4일 “비트코인은 금의 디지털 버전이자 금의 경쟁자산”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뉴욕타임스가 주최한 딜북 서밋에 참석해 “비트코인은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변동성이 매우 크다. 비트코인은 달러가 아니라 금의 경쟁자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비트코인이 10만 달러를 넘은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미국의 한 투자은행은 25년 말까지 20만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하네요!

얼마전까지만 해도 비트코인은 도박이고, 믿을 수 없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죠.
인식 전환이 이렇게 급변하게 이루어지다니 미국이 전세계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새삼스럽습니다.

​파월 의장은 비트코인은 금의 경쟁자라고 했다는데 동의합니다.

​화폐는 안정성이 확보가 돼야 하는데 비트코인은 그렇지 못하고,
대신 변동성으로 경제가 좋지 않을 때 자산을 지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보거든요.

​트럼프가 취임하고 나면 비트코인을 비롯해 암호화폐는  그동안 핍박받은 설움을 씻어내고
그 어떤 자산보다 가치가 상승할 확률이 높은 것은 맞을 거 같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은(24.12.9일 오전 10시 12분) 1억 4천만 원 정도 됩니다.
요즘 1억 3천 후반대에서 계속 왔다갔다 하지만 숏으로 하기보다는
정말 금처럼 장기적으로 모으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원화가치의 하락도 세게 경험했기 때문에 자산의 재배치에 대해 고민하시는 분들이 늘었을 듯 한데요,
암호화폐도 이제 주요 재테크 수단으로 눈여겨 보시길 바랍니다!




8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88.6으로 지난달보다 5.2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수도권은 101.9에서 90.6으로 11.3포인트나 떨어졌다. 서울도 105.2에서 100으로 떨어졌다. 입주전망지수는 주산연이 전국 주택사업자들을 설문한 결과로 기준점(100)을 밑돌면 입주 여건이 나쁘다는 뜻이다.

지수 하락세는 대출 조이기 직격탄을 맞은 수도권에서 뚜렷했다. 전국 지수는 지난달에는 소폭 올랐지만 수도권 지수는 두 달 연속 하락했다. 

입주전망지수 악화는 신축 공급 위축을 알리는 신호다. 당장은 입주를 앞두고 잔금을 납부하지 못하는 수분양자가 증가한다는 뜻이지만 입주가 지연되면 미래 수요·공급이 함께 쪼그라들 수 있다. 잔금 미지급→실질적 미분양 물량 증가→실수요 위축→공급 위축 현상이 연쇄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수도권 집값 상승세도 둔화하는 추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폭은 8월 둘째 주 올해 최고점(0.32%)을 찍더니 차츰 낮아져 이달 첫 주(2일 기준)에는 지난주와 같은 0.04%를 기록했다. 한국은행 금리 인하에도 상승폭은 그대로였다.

입주전망지수가 하락세를 보이며,
신축 입주 현황이 그리 좋지 않은 상황인 듯 합니다.

​입주를 미루는 이유에 대해서는 잔금에 대한 대출을 확보하지 못한 부분도 있습니다.
이에 마피(마이너스피)까지 나오는 것이겠죠.

​그럼에도 계속 입주가 늦어진다고 하면 기사에 나온 것처럼
실질적인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는 것이고, 새 집이 있어도 비게 되니 공급 위축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스트레스 DSR, 디딤돌, 전세 등 전방위적인 대출규제로 잔금을 마련할 여력이 없어지며 입주전망지수가 떨어지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