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CNBC 대선 설문, 트럼프-해리스 동률…경제 이슈는 트럼프 우세
- 미국 대통령 선거를 2주 남짓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간의 지지율이 거의 동률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현지시간) CNBC의 '올 아메리카' 경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트럼프 지지율은 48%, 해리스 지지율은 46%로 오차 범위 3.1% 내에 있다. 이는 지난 8월 조사와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결과다. 애리조나와 조지아, 미시간, 네바다, 노스캐롤라이나, 펜실베이니아, 위스콘신 등 경합주 7곳에서도 트럼프는 48%, 해리스는 47%로 트럼프가 근소하게 앞섰으나, 이 역시 4% 오차 범위 내에 머물러 있다. CNBC는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전국적으로 1천 명의 유권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중 경합주에서의 총 표본은 586명이었다. 이번 설문 조사에서 경제 문제가 유권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이슈로 꼽혔다. 트럼프는 물가 상승과 경제, 중산층 지원을 최우선으로 두는 유권자들 사이에서 확실한 우위를 보였다.
2. 미국 채권시장, 상충하는 경제 신호에 혼란
- 미국 경제가 언뜻 괜찮아 보이면서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채권 투자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25일(현지시간) 연합인포맥스 해외금리 일별(화면번호 6533)에 따르면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간밤 3.40bp 하락한 4.2140%로 마감했으나 최근 한 달 동안 급등세를 이어왔다. 국채 금리 상승 이유의 주요 배경은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가 '연착륙'에 가까워졌다는 기대감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성장 기대치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여 채권 수익률 상승으로 이어진다. 최근의 거시경제 지표들은 대부분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고용과 국내총생산(GDP), 소매 판매 등이 견조한 모습이며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은 3분기 GDP 성장률을 3.4%로 추적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강한 성장 전망이 금리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은행은 "이런 이유가 도널드 트럼프의 재선에 대한 기대 증가나 연준의 금리 인하가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할 것이라는 두려움 등 다른 요인보다 더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3. 일본 엔화 약세 이유…금리 차·선거 우려
- 일본 엔화가 미국 달러 대비 3개월 최저치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엔화 약세가 주로 일본과 미국 간 금리 차이에서 비롯됐다고 보고 있다. 25일 연합인포맥스 해외주요국 외환시세(화면번호 6411)에 따르면 이날 아시아 시장 개장 전 달러-엔 환율은 전장 대비 0.08% 하락한 151.7엔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엔화는 지난 23일 153.17엔 수준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레벨 부담과 달러 강세 숨 고르기, 일본 외환 당국의 구두 개입성 발언 등에 다시 151엔 선까지 레벨을 낮췄다. 그럼에도 달러-엔 환율은 여전히 150엔 위에서 견고하게 자리 잡는 모습이다. 낮은 국채 금리는 해당국 통화에는 약세 재료로 작용한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금리 인하와 일본은행(BOJ)의 금리 인상으로 양국 국채금리 격차가 줄면서 엔화 가치도 절상됐다. 그러나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둔화 등으로 미 국채금리가 급등하면서 양국 간 금리 차가 더 벌어지면서 엔화에 약세 요인으로 작용했다.
4.리플 CEO "미국 대선서 누가 이기든 '암호화폐' 의회 될 것"
-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랩스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암호화폐와 관련한 환경이 매우 우호적으로 변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갈링하우스는 24일(현지시간) DC 핀테크 위크에서 CNBC와의 대담에서 "이번 선거는 우리가 겪은 선거 중 가장 중요한 선거이지만, 어떤 일이 일어나든 그 어느 때보다 '친(親) 암호화폐', 친 혁신 의회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리플랩스는 암호화폐인 리플(XRP)의 발행사이자 은행과 금융 기관을 주요 고객으로 하는 글로벌 결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갈링하우스는 비즈니스의 약 95%가 미국 밖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워싱턴의 적대적인 환경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난 2020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리플이 법에 의한 공모 절차를 제대로 거치지 않은 불법 증권이라는 이유로 리플랩스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바 있으나 지난해 미 법원 측이 리플랩스 편을 들어 승소를 거둔 바 있다.
5. 애플, 아이폰16 판매 호조에 中 스마트폰시장 2위 복귀
- 애플이 아이폰16 판매 호조에 힘입어 중국에서 다시 2위 자리를 되찾았다. 2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리서치업체 IDC의 최신 데이터를 인용해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은 올해 3분기 15.6%의 점유율을 차지해 비보의 18.6%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전년 동기의 16.1%보다는 소폭 낮아졌다. 애플은 지난 2분기에 6위로 순위가 밀려난 바 있다. 애플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대비 0.3% 감소했지만 지난달 출시된 아이폰16 시리즈의 초기 판매량이 이전 버전과 거의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화웨이는 15.3%의 점유율로 애플을 뒤쫓았다. 중국 IDC의 수석 연구 분석가인 아서 궈는 "상당한 규모의 디바이스 업그레이드가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지속적인 회복을 촉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