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M모형 자본자산가격 결정모형
E(COE,Ke) = Rf + [Rm - Rf] * B Rm-Rf - risk premium
베타계수 = 자산 수익률과 시장수익률 사이의 공분산 / 시장수익률의 분산
베타계수 값이 1 = 시장위험과 동일
베타계수 값이 1보다 큼 = 시장위험보다 자산위험이 큼
베타계수 값이 1보다 작음 = 시장 위험보다 자산위험이 작음
0 = 무위험자산
CAPM은 변수가 많음. 무위험 수익률도 타임호라이즌에 따라 바뀜.
PBR = (ROE - g)/(KE - g)
(ex) 2020년 삼성전자 리포트
(10.1 - 3)
PBR = ------------------ = 0.9
(10.8 - 3)
예상 BPS - 39,148원
적정 주가 - 35,446원
WACC 가중평균자본비용
WACC = (Equity Capital x o) x (Debt Capital x o)
Cost of Capital 자본조달 비용
(ex) WACC = (주식조달비용 x 0.6) x (채권조달비용 x 0.4)
capm모형을 보면 배당투자가 애매해 짐.
Rf 무위험 수익률 = 기대 경제성장률 + 기대 인플레율
대전제가 시장리스크를 장기비전투자로 퉁친다는 것.
미래 현금흐름,할인율,요구수익률
기저금리. 기저금리가 저금리일수록 올라가는 금리의 영향이 크다. 조금만 올라도 2배 3배 되버린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