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 네이버 vs 카카오 구도가 있었지만 현재는 네이버가 승리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네이버의 경우에는 카카오와 상장에서부터 경영 방식까지 완전하게 다른 모습을 보였는데 이것은 창업자인 이해진 의장에 대해서 찾아보아도 발견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참고로 이해진 의장은 최근에 특이한 내용으로 이슈에 올라왔었는데 아들이 그 이유입니다.
아들이 YG 소속사 아티스트로 활동하는 특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최근에 잠깐 다시 이름이 올라온 적이 있지만 이해진 의장은 기본적으로 매우 은둔자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것은 네이버의 지배구조 등을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네이버의 경우에 오너라고 할 수 있는 지분이 없습니다. 그래서 거버넌스 리스크에 대해서 딱히 쓸 것이 없는데 오너도 없고, 주도적 주주도 없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미국의 기업과 유사한 지배 구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대 주주는 국민연금으로 8% 정도를 보유하고 있고, 그 다음은 블랙락이 5% 정도를 보유하고 있다. 이해진 의장은 창업자임에도 3%정도 수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사주가 있긴 하지만 이 정도 지분이라면 외부에서 마음먹고 영향력을 행사한다면 이해진 의장을 넘어서는 것이 어렵지 않습니다.
물론 실질로 접근하게 된다면 창업멤버들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됩니다(신한지주나 애플의 사례 등 참조 가능). 네이버의 창업자가 누군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할 수 있지만 현재 NHN, 카카오가 완전하게 다른 회사로 구분되는 만큼 이해진 의장이 가장 핵심 인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해진 의장의 경우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은 아닌 만큼 인터뷰를 찾아보기 힘든데 2017년 국감에서 인터뷰를 한 내용이 있기에 찾아보았습니다. 카카오 김범수 의장과 다르다는 평가가 많은데 논리가 명확하다면 할 말을 다 하지 못할 이유가 뭐가 있겠냐는 성격이 아닌가 싶습니다.
워낙 인터뷰가 없어서 어떠한 성향인지 아는 것이 쉽지 않겠다고 생각했는데 직설적인 성격 때문인지 많지 않은 인터뷰에서도 명확하게 자기 의견을 표현했기에 어떠한 사람인지 알 수 있을 듯 싶었습니다.
카카오의 C 레벨 이슈에 대해서 종종 들리는 바가 있는데 네이버하고는 다른 느낌이며 위의 기사를 통해서 이해 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카카오는 '저런 직원들을 그냥 두네?' 이런 느낌이고 네이버는 '직원들을 저렇게 까지 해야 하나?'라는 느낌을 받았는데 아마 오너의 차이가 이러한 결과를 만드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거버넌스 이슈에 있어서는 거의 강박증을 가지고 있는 케이스라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거버넌스 뿐만 아니라 본인 자체가 강박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정도로 이성을 추구하는 성격인 듯 싶습니다. 논리를 굉장히 중시하는 성격인 만큼 국회에서도 할 말을 다 하고, 내용을 보면 필요 없어진 회사는 사망하는게 맞고 자기와 네이버는 서로 이용하는 관계라는 내용도 확인 가능합니다.
해당 인터뷰와 팩트를 보면서 느낀게 사고 자체가 '나보다 쟤가 더 라인 기여도가 높으니 보상도 더 많이 받아야 하는 것 아님?' 이런 식입니다. 사람자체가 극도로 논리와 이성을 중시하다보니 저런식으로 사고를 할 수도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자녀들한테 뭔가 자기와 관련된 일을 시켜야 한다는 생각도 없는 듯 싶습니다. 급여도 대표가 일을 더 많이 하니깐 더 많이 받아야하는 것 아님? 이런 느낌입니다.
애초에 네이버에 관심을 두기 시작한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가 거버넌스 부분이 깔끔한 회사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지분 자체가 명확한 오너가 없는 만큼 IR도 열심히 하고 구설수도 없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네이버는 우리나라에 1개 회사를 제외하고는 상장된 회사가 없다는 점입니다.
이해진 의장에 대한 평가와 인터뷰 등을 통하여 느낀 것은 워렌버핏의 자서전을 보았을 때 받은 느낌과 비슷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버핏은 내향적인 성격임에도 불구하고 외향적인 사회적 자아를 만들어서 활동하고 있고, 이해진 의장은 본인도 인정하는 내향적인 성격을 유지하고 있지만 확실한 것은 둘 다 이성과 논리에 기초해서 행동해야 한다는 강박 관념을 가지고 있는 듯 싶습니다.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말이 있는 것처럼 네이버의 거버넌스 이슈에 대해서 인터뷰나 피상적인 내용만으로 알기 어려운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현재 공시되고 외부로 알려진 기준만을 적용했을 때, 네이버보다 거버넌스 리스크가 적은 기업도 우리나라에서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네이버에 투자하면서는 이러한 거버넌스 이슈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내려 놓고 돈을 넣어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