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151605?ntype=RANKING
기사에는 비트코인 이야기도 있지만 코인은 제 전공이 아닌 만큼 생략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기사에서 몇 가지 내용에 대해서 수정이 필요한 사항이 있습니다.
내용을 보면 '디지털 금'으로 비트코인이 불린다고 하는데 2021~2022년에는 인플레의 헷징 등으로 해당 워딩이 사용되었지만 고금리에 가격이 대폭하락하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추세입니다.
그리고 오늘의 주제인 금이 안전자산을 대표한다고 기재되어 있는데 표현과 다르게 금은 변동성이 매우 높은 자산입니다.
https://investments.miraeasset.com/fund/view.do?fundGb=2&fundCd=481390
위의 링크에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금 관련 펀드가 있는데 3등급(매우높은위험)입니다.
(만약에 금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금보다는 KRX 골드라는 상품으로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해당 상품을 들어가면 금(Gold)의 수익률과 위험도에 대해서 확인이 가능한데 생각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변동성을 볼 수 있는 요인이 표준편차인데 16.04로 매우 낮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표준편차가 크면 변동성이 높고, 낮으면 변동성이 낮은 특징을 보입니다
금이 안전자산이라는 개념은 전쟁과 같은 아주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실제로 전쟁 위험이 높아지면 금을 사려는 수요가 높아지는데 이 경우에도 유가증권 형태가 아닌 '실물로서의 금' 수요가 높습니다.
금의 수익률은 금리와 물가에 영향을 받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10년도 이전까지는 주식과 반비례하는 모습을 상당부분 보였습니다.
위의 표는 미국 주식과 금의 수익률을 investing.com 데이터를 기준으로 산출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보면 금의 수익률이 미국 주식만큼 높네?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명목 수익률 기준으로 배당 재투자까지 가정하면 미국 주식의 수익률이 더 높은 모습을 보입니다.
여하튼 위의 표만을 본다면 금의 수익률은 특정 시기에는 왠만한 증시(한, 중, 일, 유럽 몇 국가)보다 좋은 모습을 보임을 알 수 있는데 1980년부터 1970년대 고물가에서 한번 슈팅했었고, 2000년대 저금리의 영향으로 추가적인 상승을 보였습니다.
제가 작성 중인 글을 보면 아래와 같은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금(Gold) 이야기를 하는데 왜 계속해서 금리를 이야기하지?'
가장 큰 이유는 금(Gold)은 저금리의 혜택을 가장 많이 보는 상품이기 때문입니다.
예전에는 자료를 한땀 한땀 엑셀로 정리해서 실제로 값을 비교해보곤 했는데 의미가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냥 생각이 맞는지 검색을 합니다. 퀀트가 발달한 시대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수치들은 왠만하면 거의 다 공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여하튼 구글링에서 Gold vs Interest rate로 검색을 하면 아래와 같은 차트가 무수히 많이 나옵니다.
물론 이러한 내용을 쓰면 '대략적인 이야기는 맞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이런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본 글은 금(Gold)에 대한 일반 투자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된 글인 만큼 어느 정도 추이를 설명할 수 있고, 거시적인 측면에서 맞다면 그렇다고 기재를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그렇다면 의문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미국 기준금리가 이렇게 높은데 '금(Gold)' 가격은 왜 안 떨어지나요? 이야기하신 금리와 역의 관계라는 말이 틀린 것이 아닌가요?라는 질문 포인트가 당연히 발생합니다.
여기서부터 약간 복잡해질 수 있는데 장기 금리 차트를 보면 이해 가능합니다.
2023년 10월에 거의 5%에 육박했던 미국채 10년 금리가 상당한 속도로 빠졌는데 금(Gold)과 상관 관계가 보다 높은 것은 장기채 금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부터 약간 복잡할 수 있다'고 기재한 것은 현재 금리 상황이 정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최근에는 스프레드가 좁혀지는 모습을 보이고는 있지만 여전히 미국은 10년 채권 금리가 2년 금리보다 낮은 역전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준금리, 단기채 금리, 장기채 금리는 같은 방향성을 보입니다. 시차는 발생하지만 궁극적으로 같은 추이를 보여야 하는데 최근 채권 시장은 50~60년을 기준으로 가장 극단적으로 채권 시장의 상식이 통하지 않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금(Gold) 투자가 어려운 이유는 위와 같은 부분이 큰 몫을 차지합니다.
사실 금 뿐만 아니라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자본 시장 자체가 굉장히 특이점에 도달한 모습을 보입니다. 화폐의 가치가 귀해지는 와중에 노동력 시장과 자산시장 모두 강세를 보이는 모습을 보이다 보니 과거 수십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트레이딩을 하는 퀀트 투자가 시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올해 기준금리가 계속해서 인하될 것이라고 예측하는 이상한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안 그래도 변동성이 절대로 낮지 않은 금(Gold)는 당분간 그 폭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언론 등에서 작성하는 것처럼 '금 = 안전자산'이라는 공식을 믿고 정말 마음 편하고자 투자를 한다면 낭패를 볼 수 있는 만큼 반드시 위의 포인트를 기억하고 투자를 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 참고로 금 투자도 2022년까지 했었고, 현재는 금광 주식을 통하여 간접 투자를 하고 있지만 만약에 금과 관련된 투자를 직접적으로 하시기를 원한다면 KRX 골드(금)을 추천합니다. 왠만한 메이저 증권사에서는 현재 KRX 골드 거래가 가능한 만큼 증권사 MTS or HTS에서 검색을 하면 쉽게 가입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