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28357?sid=104


르세라핌이 최근에 이슈입니다. 내용을 '코첼라'라는 미국 대형 음악 축제에서 K-Pop 가수를 대표해서 공연을 했는데 라이브 실력이 이슈가 되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abr2WJllYs


왜 논란이 되었는지를 보고자 한다면 위의 영상을 보고 판단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하튼 SM의 에스파도 논란이 있긴 했는데 금번에는 메인 언론에서 다룰 정도로 이슈가 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라이브를 잘했던 블랙핑크의 무대가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특히 멤버인 사쿠라가 코첼라 후기에 대해서 글을 작성하며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데요.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8&aid=0005025796 



대중들의 반응은 대략적으로 '프로'이기 때문에 '즐기는 무대'가 아닌 '잘하는 무대'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고 합니다. 돈 받고 일하는 프로이기 때문에 자본의 값어치를 해야 한다는 의미인데 그렇다면 대중이 말하는 르세라핌의 금전적인 가치는 측정이 가능할까요.

우선 재화적으로 산출이 가능한 점은 명확한데 이는 멤버들이 간접적으로 의견을 표한적이 있습니다.

https://biz.chosun.com/entertainment/enter_general/2024/02/26/OETDUA4UUCXT2TGMNOIXICWBB4/ 


데뷔 2년 만에 정산 수익을 받았다는 내용인데 현재 BEP를 넘어서 흑자를 달성했다는 의미와 동일합니다. 르세라핌이 어느 정도 수익을 발생시키는지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한번 소속사인 쏘스뮤직 홈페이지에 에 들어가서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현재 쏘스 뮤직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르세라핌을 제외한 다른 아티스트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쏘스뮤직은 한 때 걸그룹 '여자친구'와 계약을 맺었던 중소형 기획사로 르세라핌 외 아티스트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이 부분은 모회사인 하이브의 사업보고서를 통해서도 명확하게 가능한데 하이브의 공시에는 아래와 같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레이블들과 아티스트를 매칭시켜서 공시를 했는데 다른 기획사와 다르게 (주)쏘스뮤직은 르세라핌만 매칭이 되어있습니다. (주)어도어는 뉴진스와 매칭이 되어 있구요.

결국 르세라핌 = (주)쏘스뮤직이라고 판단해도 거의 무방하며(물론 여자친구 때의 수익이 있겠지만 현재는 미미한 수준으로 추정) 쏘스뮤직의 재무제표를 보면 르세라핌이 얼마나 버는지 판단이 가능합니다.

르세라핌의 데뷔일은 2022년 5월입니다. 따라서 2022년도 기준 재무제표는 정확한 수치를 산출 할 수 없지만 판관비로 81억원을 지출 했다고 나오는데 해당 기업의 재직자는 10~15명 정도입니다. 1인당 평균 5~6천만원 급여로 추정 시 아무리 많아도 종업원 급여로 10억원 이상이 지출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아마 70억원 중에서 상당수가 광고비로 지급되며 첫해에는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다만, 2023년에는 121억원의 당기순익을 달성하며 큰 폭의 흑자전환을 시현했는데 아이돌 흑자 달성을 위해서는 일정 시기가 필요함을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매출은 대략 600억원 정도 발생했고, 일본에서 200억원 정도 발생했는데 이 부분은 어느 회사에서 수익을 들고갔는지 알 수 없습니다(하이브 일본법인? 쏘스뮤직? 이 부분은 계약을 확인해야 알 수 있음)


"결국 매출을 통해서 추정 시 르세라핌의 경제적 가치는

최소 611억원 정도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아마 2024년에는 현재까지는 반응이 나쁘지 않았는데 금번 곡의 특징은 Top 랭크를 차지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6주 이상 상위권에 안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스트리밍과 다르게 MV쪽은 성적이 생각보다 안 좋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현재 유튜브 조회수가 7천만 정도가 나오지만 '유튜브 차트' 통계를 통해서보면 해당 MV의 첫주 실적은 1천만, 2주차에 5백만, 3주차부터는 아예 차트아웃하여 확인이 불가합니다. 긍정적으로 평가했을 때 기준 3~4천만회 정도 조회수가 나올 것으로 추정되는데 상당 수준의 광고를 지출했음에도 MV 조회수가 안 나왔음을 의미합니다. 스트리밍은 나쁘지 않은 MV쪽 성적은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문제는 스트리밍은 음악을 '듣는' 개념이기 때문에 아티스트의 가창력이 이슈가 될 수 있습니다. 보는 것을 넘어서 듣는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보컬적인 능력이 상상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보컬 능력이 뛰어나면 음원이 트렌드를 따르지 못하는 경우에도 역주행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장기 차트인 가능한 상황도 벌어지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마냥 라이브와 다르게 긍정적인 부분도 분명히 존재하는데 르세라핌의 수익이 가장 크게 발생한 국가는 '일본'으로 추정됩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105024100005 


아마 한국에서 발생한 수익보다 많거나 비슷한 수준이 아닐까 추정되는데 일본의 경우 라이브 실력을 따지는 아이돌 문화가 아니다보니 상대적으로 큰 영향이 없을 듯 싶긴한데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민감한 서양이나 최근에 장작이 들어온 한국은 어떠한 영향을 받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시장에서는 크게 신경쓰지는 않는 분위기입니다. 르세라핌과 최근 데뷔한 아일릿 모두 라이브가 이슈이지만 애초에 하이브 컨셉이 노래 잘하는 가수가 아니기 때문이 아닐까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