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금리 시그널.
투자를 하면서 2가지 질문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주식이 비싼지 싼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두 번째. 주식을 사야 할지, 채권을 사야 할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좌) 긍정적인 부분 / (우) 부정적인 부분
이 2가지 질문에 대한 공통점으로 '금리'가 들어간다는 것을 알았는데요.
그래서 12가지 금리 시그널을 하루에 1개씩 분석해 보면서 금리를 통해 경제현상을 바라보려고 합니다.
파란색 부분에 해당하는 지표가 많을 경우 주식 투자하기에 유리한 환경입니다.
반대로 빨간색 부분에 해당하는 지표가 많을 경우 채권 투자하기에 유리한 환경입니다.
-> 신용 스프레드 : 시장의 속마음을 알려주는 지표
출처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좌) 월 별 (우) 일 별
신용 스프레드는 AA 회사채 3년 물 - 국고채 3년 물로 계산됩니다.
경기가 좋은 상황에서는 정부와 기업 간의 이자율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기업이 돈을 잘 벌고 있는 상황에서 이자를 조금 더 많이 주는 회사채의 수요가 더 클 텐데요.
수요가 크다는 것은 회사채의 금리가 내려가겠네요. (회사채와 국채 폭 축소)
반대로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서는 정부와 기업 간의 이자율 차이가 많이 날 텐데요.
기업이 돈을 벌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국채 수요가 더 클 텐데요.
수요가 줄어든다는 것은 회사채의 금리가 상승하겠네요. (회사채와 국채 폭 확대)
즉, 경기가 악화될수록 회사채 금리와 국고채 금리 차이는 확대됩니다.
단기금리(콜금리, SOFR)와는 다르게 신용 스프레드는 중기적인 관점으로 봐야 하는데요.
신용 스프레드 폭이 확대가 '일시적'이 아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확대되는 시그널'을 파악해야겠네요.
22년 말 1.67% -> 현재 0.639%
스프레드의 폭이 축소됨을 볼 수 있네요.
- 오늘의 경제기사.
출처 : 연합뉴스
국내 증시를 큰 영향을 미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이달 개최를 앞뒀다.
오는 12일(현지시간)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CPI) 발표에 시장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내주 예정된 CPI 발표에 시장의 관심이 모이고 있는 건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결정에 큰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근원 CPI는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3월 FOMC는 한국시간으로 21일 새벽에 발표될 예정이다.
파월 의장은 연방 상원 청문회에서 “인플레이션이 2%를 향해 지속해서 이동하고 있다는 확신이 더 들기를 기다리고 있다”며 “우리가 그 확신을 갖게 되면 그리고 우리는 그 지점에서 멀지 않았는데(not far), 긴축 강도를 완화하기 시작하는 게 적절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오는 3월 FOMC 결과가 국내 증시 향방에도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출처 : 매일경제 기사 내용 中
미리 본 3월 FOMC
Powell 의장, Lagarde 총재 모두 물가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고 조기 인하에도 선을 그었다.
Powell 의장은 7~8일(한국시간) 미국 의회 반기 통화정책 보고를 진행했다. 제출한 서 한과 증언은 ‘고용, 물가, 경제 모두 긍정적이지만 추가 확신이 필요’하다는 최근 연준 스탠스에 변함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기준금리는 연내 인하(some points this year)를 전망함과 동시에 그 시점이 그렇게 멀지 않았음(not far)을 시사했다.
또한, 경기가 예상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을 경우 수년 간 확실한 인하(down significantly over the coming year)가 수반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음 번 사이클에서 인하 폭이 크더라도 그 기간은 길게 가져가겠다는 의미다.
Powell 의장을 비롯한 연준 사람들은 연말부터 성향을 막론하고 정책 전환 관련 언급을 아끼는 모습이다. 3월 FOMC도 연장선상에서 바라보는 것이 적절하다는 판단이다. 기준금리 점도표 중간값 도 유지될 전망이다.
상승이든, 하락이든 크게 움직이는 것을 연준은 피하고 싶어한다
출처 :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 보고서 내용 中
평일에 지하철을 1시간 30분(왕복) 타고 있습니다.
이 시간에 책을 읽으면 어떨까? 하고 독서를 하고 있는데요.
어제 좋은 말씀을 들었습니다.
"미시경제보다 더 중요한 요소는 거의 없다. 미시경제는 곧 기업이다.
미시경제는 우리가 하는 일이고, 거시경제는 우리가 받아 들이는 변수다."
- 찰리 멍거
뉴스를 보면..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같은 내용들이 많은데요.
거시경제(변수)보다 미시경제(본질)를 봐야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되는 하루입니다. ㅎㅎ
* 나는 느리지만, 결코 뒤로 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