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금강일보 '아세아시멘트 제천공장'
투자자 브래드리 입니다!
매일 주식을 사려고 '주식 챌린지'를 만들었습니다.
얼마큼 주식을 모을 수 있을지 기대되네요!
※ 오늘 (점심값) 1만 원을 아끼면 주식 1주를 살 수 있습니다.
- 오늘의 매수 현황.
아세아시멘트 |
21주 매수 |
전일 매수가 *24.02.21 |
11,160원 |
금일 매수가 *24.02.22 |
11,010원 |
증가/감소 |
- 1.34% |
오늘 21주를 매수하였고, 전일보다 싸게 샀습니다.
오늘 포함, 아세아시멘트 68주 보유 중입니다.
※ 주식이 오르면 손이 잘 안 갑니다. 오르면 절반만 사고.. 내리면 두 배를 담아야겠네요 ㅎㅎ
- 오늘의 지표.
-> 국내 건설 수주액 지표 : 건축, 토목을 합산해서 발표하는 지표로 '주택 시장 방향'을 이해하고자 할 때 사용됨.
건설 수주액과 시멘트 수요는 정말 연관성이 있을까요?
전방 산업인 건설 수주액이 후방 산업인 시멘트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 간격은 어떻게 될까요?
출처 : 국가통계포털
건설 수주액 지표를 통해 1년 후 시멘트 생산 실적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기업의 매출액(Q)를 1년 선행해서 파악할 수 있다는 의미인데요.
(C) 유연탄 가격 추이, (Q) 전방 산업[인허가, 착공, 미분양) 지표, (Q) 건설 수주액을 통해..
시멘트 산업의 사이클(P/Q/C)을 알아볼 수 있지 않을까요?
- 오늘의 공부 내용.
출처 : 나이스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에서 한 마디로 시멘트산업에 대해 설명해 주었는데요. ㅎㅎ
시멘트 산업은 과거 구조조정 시기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2015년 9월 삼표시멘트가 동양시멘트를,
2016년 4월 한앤컴퍼니가 쌍용 c&e를,
2017년 8월에는 한일시멘트가 현대시멘트를,
2017년 12월에는 아세아시멘트가 라파즈한라를 인수함으로써
3년에 걸친 구조조정과 M&A(인수합병) 과정으로 2018년 부터 시멘트 시장은 과점화됩니다.
출처 : NICE 신용평가
(쌍용, 한일, 성신, 삼표, 아세아) 5개 기업의 시장점유율을 위 사진과 같은데요.
과점화된 구조에서는 가격 협상력을 갖게 되고.. 살아남기 위한 과정에서 기업 인수 부채가 증가합니다.
한 해 시멘트 업계는 대규모 인수·합병(M&A)에 따른 지각변동이 마무리되면서 한일시멘트, 쌍용양회, 아세아시멘트, 삼표시멘트, 성신양회 등 빅 5로 재편됐다.
한라시멘트를 3651억 원에 인수해 업계 7위(7.2%)에서 단번에 3위(19.1%)로 뛰어오른 아세아시멘트는 한라시멘트 유통망을 흡수하면서 기존 수도권 중심에 머물렀던 유통망을 전국으로 넓힐 전략을 세우고 있다.
출처 : 매일경제 기사 내용 中 / 2017.12.24
출처 : 아이투자 V차트
아세아시멘트의 경우 한라시멘트를 인수하기 위해 차입금을 사용한 것을 볼 수 있고요.
출처 : 아이투자 V 차트
계열사가 된 한라시멘트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유상증자 700억 중 500억 원을 빌려줬다고 합니다. ㅎㅎ
출처 : 아이투자 V차트
과점화된 구조에서 전방 산업 경기가 안 좋았던 것 같은데요. 인수 후 영업이익은 떨어지는 데.. 인수하면서 받은 차입금 이자는 별로 줄어들지 못했네요.
출처 : 네이버 금융
한라시멘트 인수비용은 제대로 갚지 못하고.. 영업이익이 떨어지면서 이자보상배율 3까지 떨어졌었는데요.
그 결과 주가에 반영이 되었네요. 코로나 영향까지 겹치면서 4,000원대를 기록했습니다.
* 제5기(17년도) ~ 제11기(23년) / 3분기
23년 11월 1일부로 시멘트 가격 6.4%를 추가로 인상했다고 하는데요.
DART '사업의 내용'에 나오는 시멘트 톤 당 가격과
뉴스에서 나오는 벌크 시멘트 가격이 서로 달라서 어떻게 산정되는지는 아시는 분 계신가요? ㅎㅎ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가격이 인상되어서 제8기(20년도)와 비교하면.. 60% 이상 가격이 인상되었습니다. 매력적이네요.
과점화된 구조가
이제서야 빛을 보고 있는 것 같은데요.
2020년도부터 지속적으로 시멘트 단가가 인상되고 있습니다.(P)
공부하시는 투자자분들을 보면 항상 P, Q, C로 설명하더라고요. ㅎㅎ
※ P : 제품의 가격, Q : 제품 수량, C : 제품 원가
< 시멘트의 경우.. >
과점화된 구조로 (P)가 상승하고..
(Q) 전방 산업의 부진으로 약세지만 경기가 계속 안 좋을 수는 없으니까.. (=싸게 살 수 있는 기회)
(C) 시멘트 원가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유연탄의 경우에도 순환자원 처리 시설로 인해 비중이 점점 낮아진다고 합니다.
결국 시간을 이용한 투자가 아닐까요?
* 나는 느리지만, 결코 뒤로 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