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ckRock을 아는가 ?

절대 ROCK 가수 이름은 아니다. 블랙록은 미국에서 설립된 글로벌 투자운용사이다. 단연, 세계 NO.1의 운용사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KODEX가 1위이다. 블랙록은 30여개 국에 70개의 지사를 두고 전 세계 모든 지역을 다루고 있기에 글로벌 자원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최고 수준의 투자 방법을 제공한다.

블랙록

한국에서는 iShares라는 브랜드로 운용하고 있고 ETF에서 글로벌 시장에 투자한다. 투자하는 상품이 많아서 블랙록 ETF 주가변동에 따라 미국 투자자들의 투자형태까지 전망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어마어마하다.

그냥 세계 NO.1의 투자운용사라고 생각하면 된다. 비슷한 운용사로는 미국의 뱅가드가 있다. 이렇게 세계 넘버원 회사와 손을 잡고 한국에서도 새로운 ETF를 출시한 것이 바로 KODEX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ETF이다.

KODEX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ETF


미국 하이일드 분배율은 높은 만기수익률에 따라 상승하고 우리나라가 아닌 세계 최강의 국가인 미국에서도 등급이 높은 대기업을 투자한다. 그리고 환전 비용을 아껴 투자비용이 0.15%라는 적은 비용으로 투자 가능하다.

해외채권이나 해외 ETF를 매수할 때는 달러로 환전해야 하지만 국내 상장 미국 채권 ETF는 환전절차 없이 투자 가능하다. 즉, 기관이 환전을 대신해서 투자하므로 환전스프레드를 최소화하지만 환헤지를 하지는 않는다. 또한, 퇴직연금, 연금저축계좌에서도 투자가능한 상품이다.

듀레이션이란 채권에 투자한 원금이 언제 회수되는지 산출한 기간으로 투자자금의 평균회수기간이다. 미국 하이일드 ETF의 듀레이션은 3.82년으로 짧은 편이다.

채권가격의 변화는 듀레이션 × 금리변화인데 채권만기가 짧을수록 듀레이션 영향은 적어진다. 그러므로 미국 하이일드 ETF의 듀레이션 영향은 적다.

그러나 하이일드 ETF는 수익률이 높지만 위험성이 높은 편이다.

10월 27일 기준

월 분배 ETF의 장점

여유로운 생활을 하고 싶다면

ⓐ 2의 월급으로 여유를 가지는 생활

미국 채권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을 월분배로 꾸준히 지급할 수 있다.

ⓑ 은퇴생활자의 생활비로

공적연금이 축소되는 흐름을 보이는 시점에서 노후 생활비로 활용가능하다.

ⓒ 하락장에서 심리적 우위를

금리 위험 민감도는 낮고 채권 발행인이 파산하지 않는 이상 원금 보장가능하다.

세계 최강의 미국기업 투자


하이일드 채권은 신용등급 BB+~D등급의 채권으로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만큼 이자가 높다. 그렇기에 우량회사채(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보다 부도위험이 다소 높다. 그리고 일반 채권보다는 변동성이 큰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미국 회사채 시장을 자세히 분석해보면 하이일드 채권이 반드시 위험한 정크본드가 아니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름만 들어도 누구나 아는 미국의 포드, 아메리카 에어라인 등도 하이일드 채권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하이일드 채권 역사적 수익률


누구나 알듯이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고 금리인하 시기에는 채권의 가격이 상승한다. 금리가 상승할 때는 몸을 사리다 최고 피크치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그때 매수한 후 금리 인하 분위기가 된다면 매도하는 전략을 취하면 된다.

코스톨라니 달걀을 활용한 전략

하이일드 채권은 쿠폰과 자본수익의 성과까지 얻을 수 있기에 현재 금융환경에서 투자하면 안성맞춤인 상품이기도 하다.

부도율

당연히 하이일드 채권은 정크펀드인지 판단해야 한다. 그러므로 "부도율"을 반드시 분석해야 한다. 최근 1년간 하이일드 채권의 부도율은 1.5%로 안정적이다. 10년간 누적 부도율도 6.1%로 안전하다고 체감할 수 있는 수치를 보여준다.

실제 USHY는 종목 수 1,884개로 벤치마크 인덱스 구성종목인 1,872개보다도 많은 종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벤치마크 인덱스란 특정 시장, 자산 클래스 또는 투자 전략의 성과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 지표이다. 이것으로 투자자나 자산운용사들이 투자 결과를 측정하거나 비교할 때 사용된다.

벤치마크 인덱스는 일정기간 동안 특정 자산 또는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 어떤 투자전략이나 포트폴리오가 벤치마크 지수를 능가하는지 또는 그에 미치지 못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벤치마크 인덱스가 완전히 복제된다는 것은 저렴한 비용, 투자목표 일치, 투자의 투명성, 다양성의 장점을 가진다. 단점으로는 투자자의 목표, 시장조건 및 자산 클래스에 따라 다른 투자 전략이 더 적합할 때 투자를 못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개인연금, 퇴직연금에도 투자가능


우리는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에 적립금을 납입한다면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현재 IRP는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하다.

단, ETF에 투자할 수 있는 것은 퇴직연금에서는 IRP와 DC TYPE이고 연금저축 계좌에서 투자하려면 증권사의 개인연금 계좌가 필요하다.

젊은 사람들의 경우, 연금계좌에 많은 금액을 납입하는 것보다 조금 리스키한 상품에 투자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 그렇기에 자신이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을 만큼 투자하는 것이 젊은 사람들의 얻을 수 있는 ETF 투자전략이라고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