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농심은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 회담 이후 농심의 스마트팜 수출이 진척을 보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부풀면서 주가가 상승세에 진입한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요즘 핫한 농심의 먹태깡은 1인 1개 구매 제한이 걸릴 정도로 그 인기는 하늘을 치솟고 있습니다. 오늘은 최근의 관심을 받고 있는 농심의 주가 전망에 대하여 알아보고 배당금은 얼마를 지급하고 있는지 알아봅시다.

먹태깡

기업개요

농심은 1965년 9월 18일에 설립되었으며, 1976년 6월 30일에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하였습니다. 농심은 창의적인 기술과 탁월한 시장 통찰력을 바탕으로 한국의 맛을 세계화하며 인류의 건강과 행복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주요한 사업으로는 라면류, 음료류, 스낵류 등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주요 판매경로는 신유통, 특약점, 온라인 등으로 구성됩니다.

농심 홈페이지
사진을 클릭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사업개요

(1) 라면시장

농심은 국내 라면시장의 인구 구조 및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해 양적으로 저성장 추세에 있어 제품의 편리성 강화 및 고급화를 통해 질적 성장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아울러 국내 수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외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전략거점인 중국과 미국/캐나다, 일본, 오세아니 지역의 경우 지속적인 신규지역 개척과 프리미엄 제품을 집중 육성중이며, 유럽과 동남아 지역은 각 국가별 특성에 적합한 효율적인 프로모션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매출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농심 라면

(2) 스낵시장

농심은 국내 스낵시장의 주 소비층인 아동/청소년층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좋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고급화된 가치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 증가에 따라 고부가가치 제품 및 기능성 제품을 중심으로 질적 성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농심은 차별적인 기술력을 이용하여 변화하는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기존 제품의 지속적인 리프레싱을 통해 시장 선도자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농심 과자 종류

(3) 음료시장

농심의 국내 음료시장에서 수요는 안정적인 반면, 신규 진입장벽이 낮다보니 경쟁이 대단히 치열한 상황입니다. 당사는 백산수를 먹는샘물 분야의 독보적 브랜드로 육성중이며, 자체 음료 브랜드인 데이플러스를 새롭게 출시하였습니다. 또한 전국에 걸쳐 탄탄하게 구축된 영업망을 활용하여 생수, 탄산음료 및 주스 카테코리에서 점유율 확대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농심 음료수 종류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농심 실적분석 및 배당금

농심 실적분석
  • 2020년 매출액: 2조 6천억 영업이익: 1,603억
  • 2021년 매출액: 2조 6천억 영업이익: 1,061억
  • 2022년 매출액: 3조 1천억 영업이익: 1,122억
  • 2023(E) 매출액: 3조 4천억 영업이익: 2,232억

농심의 실적을 보시면 천천히 성장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K-푸드의 인기로 해외 매출이 대폭 성장하고 있으며, 라면은 서민들 사이에서 가성비 식품으로 인기가 많다보니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경지 침체로 인한 부담은 줄었습니다. 따라서 농심의 미래 실적은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농심은 신제품인 먹태깡의 큰 인기에 힘입어 국내 매출을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출시 3개월 만에 600만 봉 이상의 판매를 거둘적으로 요즘 먹태깡은 매우 핫하다보니 실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농심의 배당금은 전년에는 주당 5,000원을 지급하였으며, 시가 배당률은 1.4%였습니다. 올해 예상 배당금은 5,250원으로 나오고 있으나 더 많이 지급할 수도 있고, 더 적게 지급할 수 있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앞으로의 전망은?

현재 국내 증시가 흔들리고 있지만 농심의 위치는 굳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농심의 목표가를 연일 끌어올리고 있다보니 주목되고 있습니다. 증권가에서 농심의 목표가를 50~60만원선으로 잡고 있으며 현재 주가 대비 30%이상 오를 수 있다는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먹태깡의 열풍은 2014년 허니버터칩 이후 9년만이며, 먹태깡의 인기는 얼마나 오랫동안 갈지도 지켜봐야 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