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금융시장의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이 된 모습입니다.

CNN에서 발표하는 Fear & Greed Index 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탐욕은 사라지고 극단적인 공포에 치우친 공포에 불이 들어와 있습니다.


<CNN Business>


올해 8월까지만 해도 극단적인 공포 지수가 높은 추세를 보여왔는데 급격히 꺾여 이제는 중립을 거쳐 두려움의 구간에 확실히 진입을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CNN Business>



이 공포 탐욕 지수는 시장 모멘텀, 주가 강세, 주가 폭, 풋/콜옵션, 정크본드 수요, 시장 변동성, 안전한 피난처 수요 이렇게 총 7개 지표를 종합하여 인덱스를 만듭니다.

7가지 지표들에 동일 가중치를 부여하고 각 개별 지표가 일반적인 수준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비교하여 나타냅니다.



위 7가지 개별지표 중에 현재 특이점을 몇 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탐욕 신호를 측정하는 정크본드 수요는 현재 아래와 같습니다.



<CNN Business>


정크본드에 대한 수요가 급감해 있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정크본드는 너무 위험하다고 느껴 찾는 수요가 거의 바닥 수준이라는 것이죠. 

정크본드는 위험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수익률을 보장해 주지만 그 높은 수익률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찾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 다음으로 20거래일 동안의 주식 수익률과 채권 수익률의 차이(안전한 피난처 수요)를 나타낸 지표입니다.


<CNN Business>



0%를 기준으로 위에 있으면 채권보다 주식이 수익률이 더 좋다는 것이고, 지금은 그 아래에 있으니 채권이 주식보다 수익률이 더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들이 두려움을 먹게 되면 주식은 채권보다 더 위험한 자산이니 주식투자 대신 채권 투자를 늘려나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들이 점차적으로 공포를 느끼고 있다는 점이죠.

다만 현재 채권 수요가 지금보다 크게 높아지지 않는 이유는 시장에서 채권 금리가 더 높아질 것이라는 컨센서스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여집니다.

금리 인상이 한차례 정도 더 남아있을 수 있을 것이라는 FOMC 회의 내용에 따라 채권 금리가 아직 최고점이 아닐 수 있다는 시각이 존재하기 때문이죠.



마지막으로 풋/콜 옵션 비율 입니다.



<CNN Business>


옵션시장에서의 풋/콜 ratio 는 극도의 두려움을 측정하는 차트로 쓰입니다.

1이 풋과 콜옵션이 동등하다는 것이고 이것보다 높아지면 풋옵션 투자 비율이 콜옵션 투자 비율보다 높아지는 것이고,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시장 참가자들이 하락에 더 많이 배팅을 하고 있다는 것이 됩니다.

해당 지표는 5일 평균에 대한 풋/콜 비율을 나타내며, 해당 기간 동안 어느 방향에 배팅을 더 많이 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옵션 시장이라는 것이 미래 시장의 컨센서스를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가 되기 때문에, 현재 이 지표가 1보다 높다는 것은 하락할 것 같다는 두려움이 시장에 더 크게 작용을 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한 것입니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되게 된다면 조만간 극단적인 두려움 구간에 도달하게 될 것이고 자산 시장은 큰 폭의 하락을 맞이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됩니다.

더욱이 위에서 다룬 "안전한 피난처 수요" 의 경우 올해 연준에서 한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해 버린다면, 시장에서의 컨센서스는 채권 바닥론이 급부상하게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때가 되면 주식을 팔고 채권에 투자하는 참가자들이 급격히 늘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흐름이 나온다는 것은 극도의 두려움 구간에 빠르게 진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연준이 앞으로 최대 1차례까지밖에 금리 인상을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말 중요한 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급격한 극도의 두려움으로 진입하는 신호는 연준의 금리 인상과 맞물릴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고, 이는 연준이 금리를 동결하겠다는 신호를 보낸다고 해도 마찬가지 입니다.


기준 금리 최고점이 5.5 이든 5.75이든, 채권 금리의 고점이라는 것이 인식되는 순간 극도의 공포 구간에 진입을 빠르게 하게 될 것이고, 이는 시장의 큰 붕괴를 일으킬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