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리, 구글 '제미나이' 도입
애플이 구글이 개발한 초강력 AI모델을 시리의
오버홀(대대적 정비)에 활용하기 위해 연간
약 10억달러(약 1조4000억원)을 지불하는
계약을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이 계약이 성사되면 애플은 구글의 1조2000억개
파라미터(매개변수)를 가진 '제미나이'모델 기술에
접근할 수 있게 돼요.
파라미터는 AI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척도인데요. 이는 현재 애플이 클라우드 기반
애플 인텔리전스에 사용하는 1500억개
파라미터 모델보다 훨씬 거대한 규모로 시리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확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새로운 시리는 내년 봄 iOS 26.4를 통해 출시될
예정이에요. 구글의 제미나이 모델은 시리의 요약과
계획 기능을 담당하게 됩니다.
이는 음성 비서가 정보를 종합하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결정하도록 돕는 핵심 구성 요소에요.

애플은 오픈AI의 챗GPT나 앤트로픽의 클로드 등
다른 타사 모델도 검토했지만 테스트 끝에
올해 초 구글을 최종 낙점했습니다.
데이터는 구글에게 안준다?
주목할 점은 구글의 기술을 쓰더라도
사용자 데이터는 구글 인프라와
차단된다는 것입니다.
이 모델은 애플 자체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트' 서버에서 구동될 예정이거든요.
애플은 이미 이 모델을 구동하기 위한
AI서버 하드웨어를 할당한 상태입니다.
또, 이번 파트너십은 사파리 브라우저의
기본 검색 엔진 계약처럼 공개적으로
홍보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요.
애플은 구글을 단순 기술 공급업체로만
둘 예정입니다.
하지만 애플에게 제미나이는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입니다. 애플은 자체 모델이
충분히 강력해질 때까지만 구글 기술을
사용할 계획이에요.
실제로 애플은 이르면 내년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용으로 1조개 파라미터
규모의 자체 클라우드 기반 모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한편, 구글 서비스가 금지된 중국 시장에서는
제미나이 대신 알리바바 그룹이 개발한
필터를 갖춘 자체 모델을 사용하거나
바이두와의 파트너십을 고려하고 있어요.

애플과 구글의 주가는?
애플과 구글의 주가는 전일 대비 각각 0.14% 하락, 0.21% 상승한
269달러, 285달러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특히 구글의 경우 어제 나스닥이 2%나
폭락했는데도 견고한 방어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컨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