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트코인(BTC)이 급락하면서 올해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지만,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는 여전히 장기 보유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 그의 발언을 보며, 단기 변동성보다 더 큰 흐름을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기요사키는 17일 SNS X(구 트위터)를 통해 “전 세계 시장이 흔들리는 이유는
모두가 현금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라며 “공포에 의해 유동성이 필요한 투자자들만 매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본인은 충분한 현금흐름이 있어 “보유 자산을 팔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고, 이번 급락 역시 단기 조정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
또 그는 각국 정부의 부채 부담을 언급하며, 결국은 대규모 통화 공급(돈 풀기)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금·은 같은 실물자산과 비트코인·이더리움 같은 가상자산 가치가 더 높아질 것이라는 게 그의 일관된 주장입니다.
기요사키는 “단기적으로 현금이 필요하다면 일부 매도는 할 수 있다”고 말하긴 했지만, 이는 자산 가치에 대한 판단이 아니라 단순한 유동성 확보 차원의 조치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즉, 현재 시장의 매도세는 공포 기반의 현금 수요일 뿐이라는 뜻이죠.
이어진 글에서는 “비트코인은 발행량이 2100만 개로 한정돼 있다”며, 이번 급락이 진정되면 오히려 추가 매수할 계획이라고까지 말했습니다.
그는 올해 4월에도 비트코인이 장기적으로 100만 달러(약 15억 원)까지 갈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물론 기요사키는 “금·은·비트코인도 붕괴될 수 있다”고 말하면서도, 만약 붕괴가 오더라도 그때 더 많이 매수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정부의 과도한 지출, 부채 문제 등을 오래 전부터 지적해 온 그는 “정부는 부채를 메우기 위해 결국 돈을 더 찍어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합니다.
이런 흐름 속에서 희소성을 지닌 비트코인은 법정 화폐 대비 자산 보호 수단이 될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반면 온체인 분석업체 샌티먼트(Santiment)는 최근 시장에 퍼지는 “비트코인 바닥론”에 대해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역사적으로 진짜 바닥은 모두가 낙관적일 때가 아니라, 오히려 추가 하락을 우려하며 비관적으로 보는 시점에서 형성됐다는 것입니다.
컨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