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기업 퇴사하는 과정에 대해

꽤나 솔직하고 적나라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아무래도 본인의 경험에 기반해

작성된건이기에 믿고 보셔도

될거 같습니다.

많은 직장인들이 공감될만한

이야기네요.





2.

이미 대한민국은 각자도생의 시대에

돌입한지 3~4년은 지난거 같습니다.

복지국가의 대명사인 유럽 등도

과도한 복지지출로 인한 재정 적자로

사회적 혼란이 야기되고,

이제 더이상 정부가 국민을 지켜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는데요





한국이라고 뭐 뾰족한 수단이 있는건 아닙니다.

고물가 저성장의 페러다임

전세계에 공통으로 다가온 숙제니깐요.

한국은 그 어느나라보다

고용유연성이 경직되어 있는 덕분에(?)

쉽게 해고가 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기업이 위 4번처럼 해버리면

버틸 재간이 없습니다.

앞으로 이런 기조는 훨씬 더 거세질거구요.

저렇게만 보면 기업이 잔인한 가해자고

근로자는 불쌍한 피해자인거 같지만

사회 구조적으로 보면 생산성이 나오지 않는

사람을 해고를 못하고 데리고 있는것도

사회적 비용측면에서 큰 손해입니다.






3.

50대 차부장들이야

고성장 저물가 시대의 호황을

맞아 실력이 없어도 어찌저찌

여기까지 버텨왔으나,

현재의 30~40대 대리 및 과장들이

앞으로 굉장히 큰 타격을 받을겁니다.

내가 아무리 능력이 좋아도

회사의 업종이 타격을 받아

연속적자의 실적을 낸다면

이는 곧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죠.





회사가 반등의 기회가 없다고 생각되면

빠른 '이직'이 정답일 것입니다.

40대 중반이 넘어가면 경력직 이직또한

쉽지 않기 때문이죠.



회사생활을 열심히 하되

우리회사의 장기비전과

앞으로의 성장성을 잘 살펴보고

'답이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면,

40살 미만은 대기업 이직에 올인을

40살 초과는 공무원,공기업 시험에 올인을

하는게 전략적인 방법이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