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채금리 발작
- 美 국채금리 급등…셧다운 끝나자 금리인하 기대감 약화
- 셧다운으로 데이터 부족, 12월 금리인하 확신 부족
- 12월 금리유지 베팅 가파르게 늘어…"매파 발언 반영"
- CME 페드워치, 12월 금리유지 확률 48.1% 반영
- 美 30년물 국채에 부진한 수요…입찰 후 금리 오름폭↑
- 美 단기채권 '발작적 금리 급등'…채권 비율 조정 영향
- 채권발행 비율 단기 20%·장기 80%→55%·45%로
- 단기물 쏠림 심해지자 단기자금 시장 급격히 '경색'
- 단기물 금리 급등에 담보채권 당일금리 'SOFR' 급등
- 미국발 초단기금리 쇼크, 외국인 한국 증시 매도 폭탄
- 외국인, 위기 시 한국을 '단기 현금 인출기'처럼 활용
뉴욕증시 셧다운 미국 재무부 국채 장단기 비율 조절 공개입찰 반응이 없었습니다.

기존에는 장기물 30년후에는 장기금리가 높죠. 고금리 국가 재정이 힘드니... 장단기 금리를 조정했고 장기물이 안팔립니다.

미국 국채를 담보로 빌리는 기준금리를 좌우하는 선행지표 연준싸이트 공개되는데요. sofr금리가 팍 올라가 버렸어요.

복잡한 상품으로 올라가는 AI 버블도 문제고, 장단기금리 조절 장기금리 국채입찰 실패가 증시를 좌우했습니다.
| 닷컴버블 경고
- JP모건 "AI 붐의 두려움, 닷컴 버블과 같은 종료"
- 닷컴 버블 당시 통신·광섬유 확장과 같은 상황 반복?
- 당시 통신·광섬유 네트워크 구축에 막대한 자금 투입
- 지속적인 투자 정당화할 만큼 수익 나타나지 않아 실패
- 통신회사들, 투자금 회수 쉽지 않아…부채 조달 비용↑
- 수익성 모른 채 많은 자금 지출…AI 투자 문제점과 유사
- 데이터센터 필요성 증가하나 경쟁·효율성 제약 등 문제
- 현재 AI 기업들, 잉여현금흐름 많아 재정상태는 양호
- 커지는 'AI 거품론'…'프랑켄슈타인 금융' 논란까지
- 빚 통한 버블 위험성 경고…"빅테크 부채 딜 규모 커"
- 괴물 프랑켄슈타인처럼 자금 조달 구조 복잡하게 얽혀

닷컴버블이 어떻게 무너졌는가? 6년간 2000년 인터넷 통신 광섬유 네트워크 구축에 과도한 투자로 무너졌어요.


메타가 자금조달 방식 정상적이 아닌 버블닷컴하고 비슷한 방식으로 무식하게 하고 있어요.

과거 버블이라면 시스코가 엔비디아와 같은 회사일 수 있는데 2000년 7월 사실상 망했어요. 인텔은 반도체 제조공정으로 2년간 고통 다시 살아났어고, 이후 야후는 95% 없어짐 5%는 소프트뱅크가 가져갔어요. 아마존 클라우드 회사 변신을 해서 2년후에 살아났습니다.
수익성을 거두면 퍼가 좋아진다지만 너무 무모한 투자가 무너뜨릴 수 있다는 과거 경험을 알아야 합니다. 스타게이트 오픈AI 소프트뱅크 감가상각 회계분식 장난도 있다고 해서 재무상의 신뢰가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 빅쇼트 공매도
- '빅쇼트' 마이클 버리 투자자문사, 美 당국 등록 해제
- 사이언애셋, SEC 등록 투자자문회사 지위 10일 해제
- "사이언 문을 닫았거나 외부 투자자로부터 자금 철수"
- 3월 공시 사이언의 운용자산 규모 약 1억 5500만 달러
- 최근 버리, 'AI 거품론'에 '수익 부풀리기' 경고
- 버리 "AI 투자 열풍, 닷컴 버블 연상시킨다" 경고
- AI 장비 수명 길게 잡아 감가상각비 줄이고 이익 늘려
- 투자자문사 등록 해제한 버리…"규제 밖에서 움직일 것"
- 일각 "패밀리 오피스 형태로 전환해 자본 운용할 수도"
서브프라임 사태 마이클버리? 카산드라의 예언 이라고 불리는데요.

마이클버리 일거수일투족 투자자문사 등록 해제를 했다고 하는데... 공방이 오갑니다.
마이클버리 공매도를 친 것은 아니고, 풋옵션을 했고 운명의 한판 승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재정적자 100조
- 9월까지 나라살림 적자, 역대 두 번째 큰 102.4조
- 1~9월 총수입 41조 증가했지만 총지출 544조 달해
- 통합재정수지 63.5조, 관리재정수지 102.4조 적자
- 2차례 추경 집행·확장재정 영향…"10월엔 개선 흐름"
- 현금성 정책 밀어붙이는 정부…'非 정상적' 상황 규정
- 문제는 '급한 불' 끄기 위한 재정 투입 고착화 문제
- 구조적 문제 외면, 재정 지출만 늘려 봤자 저성장 지속
- KDI "재정 중독에서 벗어나 '구조 개혁' 서둘러야"
재정적자 상황인데요. 2025년 소비쿠폰 발행 정당성은 있으나? 적자에 대한 관리 경고등이 켜졌어요.
출처 : sbs biz
#김대호박사의오늘의키워드 #sbsbiz채널 #경제흐름읽기 #시간은소중히쓰자 #주식투자 #부동산투자 #진인사대천명 #국채금리발작 #닷컴버블경고 #빅쇼트공매도 #재정적자100조
컨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