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10일(미국 동부시간) 뉴욕 증시의 주요 3대 지수가 강한 상승세로 장을 마쳤습니다.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이 곧 해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크게 끌어올린 덕분입니다.

시장은 셧다운이 풀리면 연방 공무원들이 복귀하고 항공 등 여객 활동과 전반적인 소비가 되살아나면서 경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수 마감 현황

  •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81.53포인트 (0.81%) 오른 $47,368.63$에 마감했습니다.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03.63포인트 (1.54%) 상승한 $6,832.43$을 기록했습니다.

  • 나스닥종합지수는 522.64포인트 (2.27%) 급등하여 $23,527.17$로 장을 마쳤습니다.


셧다운 해제 기대 배경

미국 민주당 내 중도파 상원 의원 8명이 공화당의 임시 예산안에 찬성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꾸면서 셧다운 해제에 대한 기대가 커졌습니다.

  • 미국 의회 상원은 이르면 당일 전체 회의를 열어 임시 예산안을 최종 처리할 예정이며, 이후 하원(공화당 다수당)에서도 법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습니다.

  • 이번 합의안에는 내년 1월까지 정부 업무를 재개하고, 트럼프 행정부 당시의 공무원 대량 해고 일부 철회 및 향후 공무원 보호 조치 등의 내용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제 지표 정상화 및 소비 개선 기대

셧다운 해제 시, 그동안 미뤄졌던 경기 지표들이 정상적으로 발표될 수 있게 됩니다.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역시 더 확실한 경제 환경 속에서 12월 기준금리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셧다운으로 인해 급여를 받지 못한 항공관제사들의 결근 등으로 발생했던 항공 대란도 해소되어,

연말 대목(추수감사절, 성탄절)을 앞두고 여행 수요와 소비에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 개선 기대감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오리온의 팀 홀랜드 최고 투자책임자(CIO)는 "11월은 위험 자산에 힘든 달이었으나, 적어도 정부 재개방에 대한 우려는 해소되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업종 및 종목별 움직임

  • 기술주와 통신서비스 업종이 2% 넘게 크게 올랐으며, 임의소비재와 소재 업종도 1% 이상 상승했습니다.

  •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 중심의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 급등했습니다.

  • 엔비디아는 5.79%나 급등하며 시가총액이 다시 5조 달러에 근접했고, 브로드컴, TSMC, ASML 등도 3% 안팎으로 상승했습니다.

  •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 기업인 알파벳 A주가 4% 뛰었으며, 브로드컴,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도 2% 안팎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AI 거품론으로 매도 대상이 되기도 했던 팔란티어는 8.81% 급등하며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금리 전망 및 변동성 지수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2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35.9%로 반영되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1.48포인트 (7.76%) 하락한 $17.60$을 기록하며 시장 불안감이 다소 완화되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